유물·공연예술 어우러진 '박물관 속 무용'
17일 국립광주박물관 야외무대
공연 후 소장유물 '금동관' 관람
입력 : 2025. 05. 12(월) 16:01
국립광주박물관의 소장유물인 ‘금동관’.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유물과 공연예술이 어우러진 특별한 무대가 마련된다. 국립광주박물관과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협업해 선보이는 ‘박물관 속’ 시리즈의 다섯 번째 공연 ‘박물관 속 무용’이 오는 17일 오후 3시 국립광주박물관 전시관 앞 야외무대에서 펼쳐진다.

이번 공연은 국내 현대무용계를 이끌고 있는 ‘LDP’(Laboratory Dance Project)무용단과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수들로 이루어진 ‘M.A.P(Movement. Analysis. Perform)’가 나서 김보라 안무가의 작품 ‘Runner’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지역예술단체의 공연도 함께 선보인다. 이숙영 조선대학교 공연예술무용과 교수가 총감독을 맡은 작품 ‘10 sequence’가 관객들을 맞이한다. 이 작품은 무용수의 신체가 10개의 시퀀스를 통과하며 해체되고 재조립되는 감각을 선사한다.

공연 관람 후 국립광주박물관 역사문화1실에 있는 ‘금동관’을 만날 수 있다. 전라남도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착용자의 신분이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한 대표적인 장식물이다. 화려한 문양과 정교한 세공 기술로 만들어져, 당시 발달된 금속공예의 일면을 알 수 있다.

최흥선 국립광주박물관장은 “이번 공연을 통해 관람객들이 소장유물인 ‘금동관’을 더욱 가깝게 느끼고, 박물관에서의 경험이 더욱 풍성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공연은 현장에서 자유롭게 관람이 가능하며, 박물관 주차장은 3시간 동안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문화행사 관련 자세한 일정 및 내용은 국립광주박물관 누리집(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공연 ‘박물관 속 무용’ 포스터.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박찬 기자 chan.park@jnilbo.com
문화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