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주자, 지역공약 경쟁속 광주·전남은 찬밥신세
이재명,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약속
김동연 “산업·수출입은행 부산으로”
지역 금융기관·정부부처 이전 ‘전무’
노무현 ‘문화수도 광주’ 공약과 대조
“농식품부·기후에너지부 최적 입지”
김동연 “산업·수출입은행 부산으로”
지역 금융기관·정부부처 이전 ‘전무’
노무현 ‘문화수도 광주’ 공약과 대조
“농식품부·기후에너지부 최적 입지”
입력 : 2025. 04. 23(수) 17:53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오른쪽부터)·김경수·김동연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첫 TV토론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의 지역별 공약 경쟁이 불붙은 가운데, 광주·전남에는 정부부처나 국책은행 이전과 같은 굵직굵직한 공약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민주당 등에 따르면, 이재명·김동연 경선 후보는 세종시에 있는 해양수산부를 각각 부산과 인천지역으로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특히 이 후보의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에 대한 맞불 성격으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까지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두 후보가 영남지역 표심을 잡기 위해 정부부처, 금융 공기업들을 경쟁적으로 부산으로 보내겠다는 모양새다.
충청권의 ‘세종 행정수도 이전 공약’은 이재명·김동연·김경수 후보 모두 한 목소리로 내걸었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를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겠다고 약속해 정권 교체가 이뤄지면 ‘세종 시대’가 열릴 가능성은 그만큼 커졌다.
정치권 일각에선 특정 지역 표심을 노린 선심성 공약 아니냐는 비판도 있지만,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광주·전남에서는 이런 공약마저 보이지 않고 있다.
산업 기반이 약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굵직한 공약이 없다는 얘기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은 문화수도 광주 공약을 통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건립하는 등 지금의 ‘문화중심도시 광주’를 완성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에선 인공지능(AI)이나 해상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산업 등 시·도가 요구하는 사업과는 별개로 경선 후보들이 지역 균형발전을 견인할 대형 금융기관이나 정부부처를 광주·전남으로 옮기는 공약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전라남도는 농협중앙회와 축협중앙회 본사 이전을 바라고 있다.
민주당 신정훈(나주·화순), 문금주(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은 농협중앙회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농협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세종 행정수도’, ‘부산 해양수도’라는 접근 방식이라면, 미래 농업을 책임질 ‘농도’ 전남에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와야 한다는 논리도 있다.
아울러 새 정부에서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된다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주도하는 전남이 최적지라는 의견이 있다.
당내에선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컨트롤타워로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왔다.
지난 3월에는 허성무 민주당 의원이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전담할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전라남도에는 지난 2022년 문을 연 세계에서 유일한 에너지 특화 연구·창업형 인재 양성 대학인 한국에너지공과대학이 있다.
전남도와 중앙정부, 에너지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합작해 만들었다.
이재명 후보도 전남이 주도하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국가 에너지 대전환 전략의 핵심으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전남에 지역구를 둔 한 의원은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된다면 에너지와 전력, 관련 대학 등을 모두 갖춘 전남이 최적지라고 본다”며 “경선 후보들이 이런 부분도 고민해서 공약을 내놨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
23일 민주당 등에 따르면, 이재명·김동연 경선 후보는 세종시에 있는 해양수산부를 각각 부산과 인천지역으로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특히 이 후보의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에 대한 맞불 성격으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까지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두 후보가 영남지역 표심을 잡기 위해 정부부처, 금융 공기업들을 경쟁적으로 부산으로 보내겠다는 모양새다.
충청권의 ‘세종 행정수도 이전 공약’은 이재명·김동연·김경수 후보 모두 한 목소리로 내걸었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를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겠다고 약속해 정권 교체가 이뤄지면 ‘세종 시대’가 열릴 가능성은 그만큼 커졌다.
정치권 일각에선 특정 지역 표심을 노린 선심성 공약 아니냐는 비판도 있지만,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광주·전남에서는 이런 공약마저 보이지 않고 있다.
산업 기반이 약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굵직한 공약이 없다는 얘기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은 문화수도 광주 공약을 통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건립하는 등 지금의 ‘문화중심도시 광주’를 완성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에선 인공지능(AI)이나 해상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산업 등 시·도가 요구하는 사업과는 별개로 경선 후보들이 지역 균형발전을 견인할 대형 금융기관이나 정부부처를 광주·전남으로 옮기는 공약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전라남도는 농협중앙회와 축협중앙회 본사 이전을 바라고 있다.
민주당 신정훈(나주·화순), 문금주(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은 농협중앙회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농협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세종 행정수도’, ‘부산 해양수도’라는 접근 방식이라면, 미래 농업을 책임질 ‘농도’ 전남에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와야 한다는 논리도 있다.
아울러 새 정부에서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된다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주도하는 전남이 최적지라는 의견이 있다.
당내에선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컨트롤타워로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왔다.
지난 3월에는 허성무 민주당 의원이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전담할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전라남도에는 지난 2022년 문을 연 세계에서 유일한 에너지 특화 연구·창업형 인재 양성 대학인 한국에너지공과대학이 있다.
전남도와 중앙정부, 에너지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합작해 만들었다.
이재명 후보도 전남이 주도하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국가 에너지 대전환 전략의 핵심으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전남에 지역구를 둔 한 의원은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된다면 에너지와 전력, 관련 대학 등을 모두 갖춘 전남이 최적지라고 본다”며 “경선 후보들이 이런 부분도 고민해서 공약을 내놨으면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