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자치구 걷기 사업 통합·재설계 추진
대·자·보 도시 전환 '평생걷기 프로젝트'
'지속가능 걷기 문화 조성' 목표
'지속가능 걷기 문화 조성' 목표
입력 : 2025. 04. 13(일) 17:06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해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 친환경 녹색도로 조성을 위해 광주시의회 의원, 시민단체, 관계공무원 등과 남구 푸른길공원 일대에 대한 현장답사를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실현을 위해 ‘광주시민 평생걷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국민디자인단은 정책 수요자인 시민과 공급자인 공무원·서비스디자이너가 함께 정책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해 공공정책 및 서비스를 기획·설계하는 국민참여형 정책모델이다.
광주시는 지난 2월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2025년 공공서비스 디자인 지원과제로 ‘광주시민 평생걷기 프로젝트’가 선정돼, 이달부터 행정안전부에서 컨설팅 등을 지원 받는다.
‘광주시민 평생걷기 프로젝트’는 일상 속 걷기 실천을 생활화하고, 자치구별로 추진되던 걷기 프로그램을 광주시 차원에서 통합·재설계해 광주만의 특화된 건강정책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다.
광주시는 회의, 토론, 현장조사 등을 통해 시민 걷기 프로그램(행사) 및 인센티브 등에 대한 시민 요구를 분석하고, 자치구별로 추진 중인 다양한 걷기 관련 사업을 리모델링해 광주시 특화사업을 설계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역점 추진 중인 ‘대·자·보 도시’ 전환에 필요한 실천적이고 지속 가능한 걷기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 보행자 입장에서 정책을 디자인하는 만큼 시민체감도도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국민디자인단은 시민과 함께 정책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행정혁신의 실천 사례”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걷기 좋은 ‘대·자·보 도시’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특화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국민디자인단은 정책 수요자인 시민과 공급자인 공무원·서비스디자이너가 함께 정책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해 공공정책 및 서비스를 기획·설계하는 국민참여형 정책모델이다.
광주시는 지난 2월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2025년 공공서비스 디자인 지원과제로 ‘광주시민 평생걷기 프로젝트’가 선정돼, 이달부터 행정안전부에서 컨설팅 등을 지원 받는다.
‘광주시민 평생걷기 프로젝트’는 일상 속 걷기 실천을 생활화하고, 자치구별로 추진되던 걷기 프로그램을 광주시 차원에서 통합·재설계해 광주만의 특화된 건강정책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다.
광주시는 회의, 토론, 현장조사 등을 통해 시민 걷기 프로그램(행사) 및 인센티브 등에 대한 시민 요구를 분석하고, 자치구별로 추진 중인 다양한 걷기 관련 사업을 리모델링해 광주시 특화사업을 설계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역점 추진 중인 ‘대·자·보 도시’ 전환에 필요한 실천적이고 지속 가능한 걷기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 보행자 입장에서 정책을 디자인하는 만큼 시민체감도도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국민디자인단은 시민과 함께 정책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행정혁신의 실천 사례”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걷기 좋은 ‘대·자·보 도시’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특화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