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해상풍력 우리만의 신규 모델 구축하길
신안군 정부 집적화 단지 선정
입력 : 2025. 04. 22(화) 17:35
정부가 전라남도 신안군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로 지정했다. 오는 2033년까지 19조원을 투자해 대형 원전 2기와 맞먹는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한반도는 갈수록 뜨거워 지고 기상이변도 속출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기후재난의 근본 대책인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겠다는 정부의 결정을 환영한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전남 신안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공고했다. 전남도는 오는 2033년까지 신안군 해역에 해상풍력 10개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발전 규모만 대형 원전 2기의 발전량을 넘어서는 총 3.2GW에 달한다고 한다.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는 실시기관인 자치단체 주도로 입지를 발굴하고 지역주민, 어업인,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해 사업을 추진하는 구역이다. 이번 지정이 지역과 상생하는 해상풍력 개발 모델로 정착되길 기대한다.

전남은 인구감소로 인해 모든 분야에서 활력을 잃고 있고 고령화율이 높아 소멸의 위기에 놓여있다. 이런 상황에서 해상풍력은 인구소멸을 극복하고 국가 균형발전과 탄소중립 시대로 나아가는 해결책이다. 해상풍력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줄여 탄소중립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최적의 해법이기 때문이다.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과 연관기업 등의 육성을 통해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활성화에 기여하고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가치도 크다.

문제는 주민수용성과 공공성이다. 전남도와 신안군은 송전선로 인근 주민과 어민 등을 민관협의회에 참여시키고 전력계통협의체, 주민설명회 등 협력과 소통을 통해 주민수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한다. 공공의 이익을 기반으로 한 전남과 신안만의 새로운 해상풍력 모델도 구축해 가야 한다.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해야 할 일이 많다.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