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국민경선' 무산…김동연·김두관 비명계 반발
입력 : 2025. 04. 12(토) 18:00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이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제1차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를 국민 여론조사와 당원 투표를 절반씩 반영해 선출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이 당 후보 경선 방식에 대해 반발하고 나섰다.
12일 민주당 특별당규위는 이날 의원총회와 당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쳐 경선 방식으로 ‘권리당원 50%와 국민 여론조사 50%’인 ‘국민참여경선’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하며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를 통해 각 50만명씩 두 차례 진행한다.
당은 오는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방식이 변화해 왔다.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며 “2012년 완전국민경선을 시작한 후 민주당 위상도 많이 변했다. 11만명이었던 권리당원이 현재는 120만명에 육박한다. 정당주인인 당원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것이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재명 전 대표의 지지세가 높은 당원 비중을 따로 두지 않는 ‘국민경선’ 방식을 요구했던 비명계 주자들은 국민참여경선 확정에 ‘원칙 파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김동연 경기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입장문을 내고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탄핵의 광장에서 형성된 응원봉 연대의 힘을 국민선거인단 경선으로 모아 정권교체를 이루자는 국민과 민주진영의 염원을 외면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국민선거인단을 처음 시작한 이유는 당원이 아니더라도 국민이 직접 후보를 선출해 중도성과 대표성을 부여하여 본선에서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며 “민주당은 ‘역선택’이라는 말에 원칙을 접은 적이 없다. 국민경선을 못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김 지사 측은 ‘당규위원회가 특정 후보만을 위한 위원회일 수는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경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경선의 당사자인 후보측과 경선룰에 대한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서면으로 입장 전달을 요구한 것 외에는 어떤 논의나 소통도 없었다”고 항의했다.
한편 민주당은 지난 두 차례 대선 경선에서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을 모두 선거인단으로 포함해 투표를 진행하는 국민경선(국민선거인단)을 선택한 바 있다.
곽지혜 기자
12일 민주당 특별당규위는 이날 의원총회와 당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쳐 경선 방식으로 ‘권리당원 50%와 국민 여론조사 50%’인 ‘국민참여경선’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하며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를 통해 각 50만명씩 두 차례 진행한다.
당은 오는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방식이 변화해 왔다.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며 “2012년 완전국민경선을 시작한 후 민주당 위상도 많이 변했다. 11만명이었던 권리당원이 현재는 120만명에 육박한다. 정당주인인 당원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것이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재명 전 대표의 지지세가 높은 당원 비중을 따로 두지 않는 ‘국민경선’ 방식을 요구했던 비명계 주자들은 국민참여경선 확정에 ‘원칙 파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김동연 경기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입장문을 내고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탄핵의 광장에서 형성된 응원봉 연대의 힘을 국민선거인단 경선으로 모아 정권교체를 이루자는 국민과 민주진영의 염원을 외면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국민선거인단을 처음 시작한 이유는 당원이 아니더라도 국민이 직접 후보를 선출해 중도성과 대표성을 부여하여 본선에서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며 “민주당은 ‘역선택’이라는 말에 원칙을 접은 적이 없다. 국민경선을 못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김 지사 측은 ‘당규위원회가 특정 후보만을 위한 위원회일 수는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경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경선의 당사자인 후보측과 경선룰에 대한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서면으로 입장 전달을 요구한 것 외에는 어떤 논의나 소통도 없었다”고 항의했다.
한편 민주당은 지난 두 차례 대선 경선에서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을 모두 선거인단으로 포함해 투표를 진행하는 국민경선(국민선거인단)을 선택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