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CEO·우승희>에너지 지산지소 RE100 복합도시 중심, 영암
우승희 영암군수
입력 : 2025. 07. 17(목) 15:11

우승희 영암군수
지난 10일 대통령실이 RE100특별법 제정을 공식화하면서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대전환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특히 기업 규제 제로, 파격적 교육·정주 여건, 송배전망 비용 감축과 전기요금 차등제를 포함한 정부의 RE100 산업단지와 에너지 신도시 계획을 환영한다.
RE100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은 세계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는 시대다. 기업의 사활이 걸린 RE100의 핵심은 지역에서 생산하는 에너지를 지역에서 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다.
이제 지방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옮기는 방식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지로 기업이 찾아오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기업이 지역으로 옮기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재생에너지를 쓰며 RE100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국가도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에너지 고속도로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 송배전망 건설에 따른 주민 반대와 여러 난관이 예상되는 해저케이블 건립 고민도 덜 수 있다.
현재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는 수도권으로 보낼 전력망이 부족해 2031년까지 전력계통 접속이 제한돼 있고, 추가 생산된 전기는 버려지고 있다. 따라서 RE100특별법 제정은 기업의 재생에너지 생산 지역으로 이전을 가속할 것이다. 이미 제정된 분산에너지법은 생산기업과 소비기업의 전기 직거래를 허용하고 있어서 재생에너지 지산지소를 뒷받침하고 있다.
RE100특별법은 최고의 국가균형발전 전략이다. 행정기관 이전 중심이었던 참여정부의 혁신도시 시즌1은 공무원만 지역에 내려오고 가족은 서울에 사는 한계로 나타났다. 국민주권정부에서 진행될 혁신도시 시즌2는 기업 이전이어야 한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RE100 복합도시로 완성돼야 한다. 지역의 입장에서는 전력 소비는 많고, 일자리는 적은 데이너센터보다 반도체·이차전지 등 고용창출 효과가 큰 첨단기업이 RE100을 목표로 지역에 오기를 고대한다.
RE100특별법은 이재명 대통령의 국토균형발전 전략인 5극 3특 초광역권 특별자치도 공약과 이어진다. 호남권을 에너지 중심의 초광역 경제권으로 만들어 지역격차를 해소하고, 성장 기반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남권은 양질의 햇빛과 바람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RE100 산단의 최적지다.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호남권 초광역 경제권의 한 축이 되고, 신설 예정인 기후에너지부 호남 유치의 든든한 배후지다. RE100특별법이 국토균형발전 전략과 결합해 서남권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을 확신한다.
대통령실이 파격적 교육·정주 여건을 밝혔듯이, RE100 산단은 재생에너지 복합도시 조성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RE100 기업 이전으로 일자리가 생기고,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시민의 주거·문화·의료·복지 등 기본사회 욕구가 채워지고, 글로벌 재생에너지 인재 육성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에너지 대전환은 화석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바꾸는 것을 넘어선다. 산업혁명 이후 200여 년을 주도했던 화석연료와 대량생산 대량소비, 도시화와 수도권 집중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는 방식의 전환까지를 의미한다. 국정기획위원회가 RE100 산업단지 입지 여건으로 재생에너지가 풍부하지만 낙후된 지역을 우선 고려하겠다는 것은 에너지 대전환과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매우 적절하다.
영암을 중심으로 한 서남권은 재생에너지 지산지소를 가장 빨리 실현할 수 있는 지역이다. 서남권 경제의 심장부인 대불국가산단은 서남해안 해상풍력 기자재 배후산단이자 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소비처다. 해상풍력 구조물과 기자재까지도 재생에너지로 만들 수 있는 RE100 산업단지 전환이 바로 가능하다.
대불국가산단은 이미 에너지 자급자족과 공공형 VPP(통합발전소) 사업을 진행 중이다. 서남권에 저렴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업도시 삼포지구에는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자원순환 청정수소 발전사업을 추진 중이다. 영암호와 간척지는 태양광 집적화단지를 통해 재생에너지 생산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삼호읍 나불도 인근 광활한 부지에는 재생에너지가 필요한 수도권의 글로벌 기업이 이전하여 추가 RE100 산단을 조성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영암 지역 공약인 복합도시 조성으로 일자리·주거·교육 등이 어우러지면 서남권 재생에너지 지산지소 실현의 최적지로 손색이 없다.
이재명 대통령의 에너지 대전환을 가장 빨리 실현할 수 있는 영암군의 ‘재생에너지 지산지소 RE100 복합도시 조성사업’을 주목해야 할 이유다.
RE100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은 세계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는 시대다. 기업의 사활이 걸린 RE100의 핵심은 지역에서 생산하는 에너지를 지역에서 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다.
이제 지방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옮기는 방식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지로 기업이 찾아오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기업이 지역으로 옮기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재생에너지를 쓰며 RE100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국가도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에너지 고속도로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 송배전망 건설에 따른 주민 반대와 여러 난관이 예상되는 해저케이블 건립 고민도 덜 수 있다.
현재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는 수도권으로 보낼 전력망이 부족해 2031년까지 전력계통 접속이 제한돼 있고, 추가 생산된 전기는 버려지고 있다. 따라서 RE100특별법 제정은 기업의 재생에너지 생산 지역으로 이전을 가속할 것이다. 이미 제정된 분산에너지법은 생산기업과 소비기업의 전기 직거래를 허용하고 있어서 재생에너지 지산지소를 뒷받침하고 있다.
RE100특별법은 최고의 국가균형발전 전략이다. 행정기관 이전 중심이었던 참여정부의 혁신도시 시즌1은 공무원만 지역에 내려오고 가족은 서울에 사는 한계로 나타났다. 국민주권정부에서 진행될 혁신도시 시즌2는 기업 이전이어야 한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RE100 복합도시로 완성돼야 한다. 지역의 입장에서는 전력 소비는 많고, 일자리는 적은 데이너센터보다 반도체·이차전지 등 고용창출 효과가 큰 첨단기업이 RE100을 목표로 지역에 오기를 고대한다.
RE100특별법은 이재명 대통령의 국토균형발전 전략인 5극 3특 초광역권 특별자치도 공약과 이어진다. 호남권을 에너지 중심의 초광역 경제권으로 만들어 지역격차를 해소하고, 성장 기반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남권은 양질의 햇빛과 바람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RE100 산단의 최적지다.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호남권 초광역 경제권의 한 축이 되고, 신설 예정인 기후에너지부 호남 유치의 든든한 배후지다. RE100특별법이 국토균형발전 전략과 결합해 서남권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을 확신한다.
대통령실이 파격적 교육·정주 여건을 밝혔듯이, RE100 산단은 재생에너지 복합도시 조성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RE100 기업 이전으로 일자리가 생기고,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시민의 주거·문화·의료·복지 등 기본사회 욕구가 채워지고, 글로벌 재생에너지 인재 육성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에너지 대전환은 화석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바꾸는 것을 넘어선다. 산업혁명 이후 200여 년을 주도했던 화석연료와 대량생산 대량소비, 도시화와 수도권 집중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는 방식의 전환까지를 의미한다. 국정기획위원회가 RE100 산업단지 입지 여건으로 재생에너지가 풍부하지만 낙후된 지역을 우선 고려하겠다는 것은 에너지 대전환과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매우 적절하다.
영암을 중심으로 한 서남권은 재생에너지 지산지소를 가장 빨리 실현할 수 있는 지역이다. 서남권 경제의 심장부인 대불국가산단은 서남해안 해상풍력 기자재 배후산단이자 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소비처다. 해상풍력 구조물과 기자재까지도 재생에너지로 만들 수 있는 RE100 산업단지 전환이 바로 가능하다.
대불국가산단은 이미 에너지 자급자족과 공공형 VPP(통합발전소) 사업을 진행 중이다. 서남권에 저렴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업도시 삼포지구에는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자원순환 청정수소 발전사업을 추진 중이다. 영암호와 간척지는 태양광 집적화단지를 통해 재생에너지 생산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삼호읍 나불도 인근 광활한 부지에는 재생에너지가 필요한 수도권의 글로벌 기업이 이전하여 추가 RE100 산단을 조성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영암 지역 공약인 복합도시 조성으로 일자리·주거·교육 등이 어우러지면 서남권 재생에너지 지산지소 실현의 최적지로 손색이 없다.
이재명 대통령의 에너지 대전환을 가장 빨리 실현할 수 있는 영암군의 ‘재생에너지 지산지소 RE100 복합도시 조성사업’을 주목해야 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