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특집>이재명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호남이 묻는다
입력 : 2025. 07. 17(목) 17:41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을 하며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정부는 출범과 함께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국정 기조로 ‘지역 균형발전’을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인공지능(AI)과 재생에너지 산업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전략은, 전통적으로 농업과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진 광주·전남에 새로운 전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 광주광역시는 AI 중심도시를 표방, 국립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AI 산업 융합 집적단지 조성 등 AI 산업 육성 및 기업 유치와 기술 실증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라남도 또한 신안과 영광 일대를 중심으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조성 본격화와 재생에너지 인프라와 연계한 해남 솔라시도 데이터센터 유치 등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로의 도약을 추진 중이다.

더불어민주당의 전통적 핵심 지지기반인 호남은 1987년 직선제 이후 거의 모든 대선과 총선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왔으나 이에 상응하는 정책적 지원 및 발전은 터무니없이 열악했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실제 광주는 대전·대구·부산 등 타 광역시가 국책 연구기관과 공공기관 이전, 첨단R&D 산업과 기업 이전 등을 바탕으로 한 산업 고도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자동차·기계 중심의 제조업에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농수산업과 석유화학 등 자원 기반 산업에 의존하고 있는 전남도 또한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데다, 각종 생활 인프라와 직장, 교육환경 미흡 등으로 인구 유출까지 가속화되면서 전남 22개 시·군 중 20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되는 등 존폐 위기를 걱정해야 할 상황이다.

이재명 정부가 지역 균형발전을 천명한 이상, 이번만큼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 지역사회의 공통된 요구다. 광주·전남이 지역 미래 발전을 위해 기반을 닦아 온 AI와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새정부의 전략과 맞닿아 있는 만큼, 이제 필요한 것은 약속이 아닌 실천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진짜 대한민국’에 지역의 미래가 담길 수 있을까. 호남은 지금, 조용하지만 단호하게 묻고 있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정치일반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