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프로젝트

- 우리가 해친 바다환경, 이젠 우리가 돌려놓을 때
- 전남일보 '공프로젝트 시즌3', '지속가능, ESG로 답하다'의 이번 이야기는 환경(E)입니다. 환경문제 중...

- 지속가능, ESG로 답하다
- 전남일보가 '공프로젝트 시즌3'를 시작합니다. '지속가능, ESG로 답하다'입니다. 공프로젝트 시즌2였던 '...
- 공프로젝트가 새로운 날개를 달고 찾아온다
- 지난 2015년부터 이어져 왔던 전남일보 공공캠페인인 '공'프로젝트가 4년5개월의 대장정을 마친다.'공'프로젝트는 사회 전반의 본질을 짚어보고 화두를 ...
- (영상)"아그들아, 물러나 있어라 인자부터 엄마들이 나설랑께."
- 1980년 5월. 그것은 전쟁이었다.사방에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밀려들어 왔고, 방금 숨을 거둔 시체를 지나쳐 다른 환자에게 가고 있다.이제 겨우 아이티...
- 뭐 있었것소. 죽으면 죽으리라 사필귀정 그 하나로 싸웠을 뿐
- 안성례 오월어머니집 설립자가 오월 어머니들의 한(限)을 이야기 하고 있다. 김양배 기자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까지 광주에서 격렬한 시위가...
- 솔갱이가 병아리를 채갈때엔 닭도 목숨걸고 싸우는 벱이여
- 하물며 평화롭던 집 앞에서… 내 새끼고 남의 새끼고
죽어 자빠지는 판국에 가만 있을 엄마가 어딨단가.
우리 병아리들 죽이고 간 솔갱이들은 저리 살아 멀...
- (영상)상해 임시정부 요원이자 독립운동가 일강 김철 선생
- "100년뒤의 대한민국은 자주독립을 이루었소?"REP〉 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에는 독립운동가 일강 김철 선생의 기념관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김철 선생은...
- "100년뒤의 대한민국은 자주독립을 이루었소?"
- 독립운동가 김철 선생 후손 김만선씨."신의 도끼로 귀신을 주살하는 것이 역사의 대의다. 해가 뜨고 달이 두루 비치니 강과 산이 모두 정연하다." (독립...
- 일강 김철 선생은 누구
- 조선이 국호였던 시대인 1886년 10월15일 생이다. 함평군 신광면 함정리 구봉마을에서 태어났다.4남 1녀중 3남. 1908년 영광에 있는 광흥중학교...
- "나, 일강 김철의 정의는 조국의 완전한 독립이요. 100년 뒤의 그대들은 그러한 세상에서 살고 있소?"
- 독립운동가 김철 선생 후손 김만선씨. 전남 한평군 신광면 김철 선생 기념관.고향 함평을 떠나올 때 문득 하늘을 쳐다보았다.멀고 먼 상해까지 가는 길, ...
- "피해자라고 부르지 마라. 아직 해방을 맞지 못한 사람들일 따름"
- "인터뷰가 힘드실 수도 있을 겁니다."
전화기 너머로 이국언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상임대표의 목소리가 흘러 나왔다. 이 대표는 3월 공...

- 이금주 전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은 누구
- 빛바랜 흑백사진 속의 스무살 신부 옆에는 키가 큰 신랑이 서 있다.
신부도 부끄러운 표정이 아니었다. 194...
- (영상)일제시대 전쟁 피해자를 위해 헌신한 이금주 할머니
- REP>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 유족회.일제시대 전쟁 피해자를 위해 헌신한 이금주 할머니 집에 걸려있던 현판입니다.이금주 할머니는 일제 강제동원으로 남...
- "일본, 나쁜 사람들이지…암, 나쁘고 말고 징용가서 사망한 남편… 아직 해방 요원"
- 공프 이금주(전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장) 할머니. 순천시 별량면 000요양병원."어디서 오셨소?"말투는 흐렸다. 허나 일본이야기가 나오자 안광에 ...

- "침묵하라니요. 민주주의는 원래 수다스러운 거예요"
- 겨울치고는 생각보다 따뜻한 1월의 어느 날이었다.
프로젝트 섭외 대상이라는 전화에 쾌활한 목소리로 "그런데 ...

- 다시 정의다-이소아 변호사
-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들이 주저하지않고
자신 목소리를 낼수 있는 게 正義입니다
"정의란 무엇일까요? 어려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