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의대생 복귀, 의정갈등 정상화 계기되길
전남대·조선대 등 복학원 제출
입력 : 2025. 03. 31(월) 17:29
전남대와 조선대 등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속속 복귀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의대생이 복귀하더라도 의료 정상화까지 남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강의실 복귀가 의료 사태를 수습하는 첫 단추라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어렵게 결실을 맺은 의대생의 복귀가 의대교육 정상화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31일 교육계와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현재 전남대 의대는 전날 전원 복학 방침을 표명한 휴학생 600명 중 1명을 제외한 599명이 복학원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대 의대도 휴학생 680여명 중 상당수가 복학원을 제출했다고 한다. 앞서 서울대와 연세대 등 이른바 ‘빅 5’ 의대생이 사실상 전원 복귀를 결정했고 국가거점국립대인 부산대와 충남대 등 지방 국립대학들도 상황이 비슷해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가 끝을 맺을 가능성이 커졌다. 교육부도 ‘상당수 많은 대학 의대생들이 등록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학생들이 강의실에 복귀하는 것은 공중보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점에서 당연한 일이다. 정부도 의대생들이 3월까지 복귀할 경우 내년 의대 모집 인원을 원래 정원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했다. 명분은 1년 동안 계속된 의대 교육 파행과 의료 대란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것이지만 사실상 백기를 든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런 상황에서 복귀를 미루는 것은 학생들 개인에게 불행이면서 장기적인 국가 의료 인력 수급에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의료 교육 시스템을 정상화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제 남은 변수는 복학이 수업으로 이어질 것인가다. 정부와 의료계는 의대생 복귀로 의료정상화에 청신호가 켜진 만큼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하루 빨리 의정갈등을 해결해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교육 시스템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학생들이 복귀를 선택했어도 정상화까지 갈 길은 멀다. 의대 교육 정상화는 학생들의 전원 복귀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는 데 있다.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