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석대>‘글로벌 사우스’
박성원 편집국장
입력 : 2024. 04. 28(일) 14:16
박성원 국장
오는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미국·일본·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 정상회의에서 이른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의 지정학적 안정이 핵심 의제로 다뤄진다는 소식이다.

글로벌 사우스는 ‘서방 선진국’이란 말과는 대비되는 용어로, 남반구나 북반구 저위도에 있는 국가들을 지칭한다. 전통적으로 과거 식민지 혹은 제국주의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로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오세아니아 등지 120여 개국이 포함된다. 북반구에 몰려 있는 선진국을 일컫는 ‘글로벌 노스’(Global North)의 반대 개념이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코로나 팬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기존 국제질서가 크게 요동치면서 미국을 비롯한 서방이냐, 중국·러시아냐는 양자택일식 편 가르기를 거부하면서 독자적인 생존과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들 나라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에 매몰되지 않고 자국 이익에 따라 특정 진영과 선택적 협력을 하는 실리주의를 추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인도가 대표적인 사례로 러시아로부터 전투기, 탱크, 잠수함, 방어시스템 등 다양한 군사 장비를 들여와 미국의 반발을 사면서도 미국 기업과 첨단 기술 협력은 더욱 강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글로벌 사우스는 천연자원, 노동력, 시장규모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엄청난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들 국가는 석유, 철광석 등 천연 자원이 풍부하고 인구가 많아 노동력 확보가 쉽다. 많은 인구 덕분에 대규모 소비시장도 존재한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와의 무역 등 경제협력은 국가 경제발전을 촉진시키고 기업에 새로운 시장을 제공하고 기술 발전과 산업의 다양화에 도움을 준다.

글로벌 사우스를 내 편으로 끌어들이는 건 ‘G7’ 등 강대국 뿐 아니라 대한민국에도 중요한 과제다. 서방세계의 경제적 도움을 받던 개발도상국에서 원조를 주는 선진국으로 고도화한 한국의 성공 경험과 노하우는 글로벌 사우스가 매력을 느끼기에 충분한 요소다.

요즈음 세계 각국은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우면서도 실질적으로는 국익이라는 ‘실리’를 추구하고 있다. 한국의 국력 신장과 경제적 이익 극대화를 위해 글로벌 사우스를 끌어안기 위한 외교정책 수립과 행동이 필요한 때다.
서석대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