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환경청, 공공하수처리시설 기술지원
시설별 맞춤 대책 수립 운영
입력 : 2025. 04. 24(목) 11:38

영산강유역환경청.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은 내달 1일부터 공공하수도처리시설 운영·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기술지원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하수도 분야 환경기초시설을 지난 2023년 29개소에서 2024년 53개소로 24개 사업을 추가 준공해 처리효율을 증가시켰다.
하수관로 노후화 및 계절적 수질변화 등으로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시설에 대해 기술지원을 적극 실시해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 건수가 2023년 43건에서 2024년 23건으로 46.5%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현재 전남지역의 하수도 보급률은 84.3%로 전국 하수도 보급률(95.4%) 대비 낮은 실정이나, 올해 환경기초시설 설치사업을 대폭 확대(2024년 4860억원 →2025년 6781억원)해 사업을 추진하면 하수도 보급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영산강유역환경청은 한국환경공단, 민간 전문가 등 수처리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지원반의 현장 방문을 통해 시설 성능 및 운영 공정의 적정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맞춤형 개선 사항과 실효성 있는 운영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올해부터는 기술지원 후 시설별 맞춤형 대책의 분기별 이행 상황 점검을 강화하고 시설·장비의 전면 개량이 필요한 경우 국고 지원도 적극 검토하는 등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우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하천 등 공공수역 수질보전을 위해 전문가와 합동으로 현장 중심의 기술지원을 추진해 하수처리 기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진용 기자
영산강유역환경청은 하수도 분야 환경기초시설을 지난 2023년 29개소에서 2024년 53개소로 24개 사업을 추가 준공해 처리효율을 증가시켰다.
하수관로 노후화 및 계절적 수질변화 등으로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시설에 대해 기술지원을 적극 실시해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 건수가 2023년 43건에서 2024년 23건으로 46.5%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현재 전남지역의 하수도 보급률은 84.3%로 전국 하수도 보급률(95.4%) 대비 낮은 실정이나, 올해 환경기초시설 설치사업을 대폭 확대(2024년 4860억원 →2025년 6781억원)해 사업을 추진하면 하수도 보급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영산강유역환경청은 한국환경공단, 민간 전문가 등 수처리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지원반의 현장 방문을 통해 시설 성능 및 운영 공정의 적정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맞춤형 개선 사항과 실효성 있는 운영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올해부터는 기술지원 후 시설별 맞춤형 대책의 분기별 이행 상황 점검을 강화하고 시설·장비의 전면 개량이 필요한 경우 국고 지원도 적극 검토하는 등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우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하천 등 공공수역 수질보전을 위해 전문가와 합동으로 현장 중심의 기술지원을 추진해 하수처리 기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