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국민 모두에게 불행한 의대생 수업거부
교육 차질로 시스템 붕괴 안돼
입력 : 2025. 04. 21(월) 17:28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면서 유급 예정 대상자가 줄줄이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2026학년도 각 의과대학 모집 학생이 증원 정책 전으로 환원된 상황에서 자칫 집단 유급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안이 없는데다 명분마저 부족한 의대생들의 수업 불참이 안타깝다.
당장 전남대의 경우 대면 강의 참여율은 전체 학생의 10%대로 저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남대 의대는 우선 본과 3~4학년 중 각 실습 강의에 불참한 일부 학생에게 F학점이 불가피하다며 지난 주부터 개별 통보하고 있다. 의대는 한 과목이라도 한 학기 수업 일수의 4분의 1 또는 3분의 1을 이수하지 않아 F학점을 받으면 유급 징계가 불가피하다. 조선대 의대 역시 소수만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미 실습 강의 한 과목에 대해 결석이 잦은 본과생 일부에게는 ‘이수 수업 시수 부족’ 사실을 개별적으로 알렸다. 유급 대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예고하는 절차라고 한다.
변화가 없다면 전남대와 조선대 모두 의대 본과 3~4학년생 중 유급 예정 대상자가 갈수록 늘어날 수밖에 없다. 예과생들의 수업 일수가 미달되는 이달 말이면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화되면서 내년도 의대 학사 운영도 어려워진다. 여기에 24·25·26학번이 한 번에 한 학년에서 수업을 듣는 초유의 ‘트리플링’ 사태가 벌어지면 의대 교육 전반에 차질을 빚게 된다. 국민 건강과 직결된 의사 양성 과정에서 교육이 차질을 빚는다는 것은 곧 의료 시스템 붕괴를 의미한다. 의사를 목표로 오랫동안 고심하며 입시를 준비해 온 학생 개개인의 진로도 불투명해질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이미 내년 의대 증원을 백지화 하기로 한만큼 학생들은 즉시 수업에 복귀해 정부가 내놓은 증원 백지화라는 대안에 호응해야 한다. 의사 단체도 국가적 위기인 대량 유급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학생들은 수업 복귀를 지원해야 한다. 대량 유급 이후, 유급생과 내년도 신입생이 한 학년에 몰려 수업을 함께 듣는 것은 정부와 대학, 학생은 물론이고 국민 모두에게도 불행한 일이다.
당장 전남대의 경우 대면 강의 참여율은 전체 학생의 10%대로 저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남대 의대는 우선 본과 3~4학년 중 각 실습 강의에 불참한 일부 학생에게 F학점이 불가피하다며 지난 주부터 개별 통보하고 있다. 의대는 한 과목이라도 한 학기 수업 일수의 4분의 1 또는 3분의 1을 이수하지 않아 F학점을 받으면 유급 징계가 불가피하다. 조선대 의대 역시 소수만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미 실습 강의 한 과목에 대해 결석이 잦은 본과생 일부에게는 ‘이수 수업 시수 부족’ 사실을 개별적으로 알렸다. 유급 대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예고하는 절차라고 한다.
변화가 없다면 전남대와 조선대 모두 의대 본과 3~4학년생 중 유급 예정 대상자가 갈수록 늘어날 수밖에 없다. 예과생들의 수업 일수가 미달되는 이달 말이면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화되면서 내년도 의대 학사 운영도 어려워진다. 여기에 24·25·26학번이 한 번에 한 학년에서 수업을 듣는 초유의 ‘트리플링’ 사태가 벌어지면 의대 교육 전반에 차질을 빚게 된다. 국민 건강과 직결된 의사 양성 과정에서 교육이 차질을 빚는다는 것은 곧 의료 시스템 붕괴를 의미한다. 의사를 목표로 오랫동안 고심하며 입시를 준비해 온 학생 개개인의 진로도 불투명해질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이미 내년 의대 증원을 백지화 하기로 한만큼 학생들은 즉시 수업에 복귀해 정부가 내놓은 증원 백지화라는 대안에 호응해야 한다. 의사 단체도 국가적 위기인 대량 유급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학생들은 수업 복귀를 지원해야 한다. 대량 유급 이후, 유급생과 내년도 신입생이 한 학년에 몰려 수업을 함께 듣는 것은 정부와 대학, 학생은 물론이고 국민 모두에게도 불행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