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임시 국제선 추진…군공항 이전 갈등 재점화
시민 불편 해소·관광업계 지원책
무안군 "임시취항 실효성 떨어져"
도, 대선공약 민·군공항 통합이전
"정부 적극중재, 지역갈등 봉합을"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도 관심
무안군 "임시취항 실효성 떨어져"
도, 대선공약 민·군공항 통합이전
"정부 적극중재, 지역갈등 봉합을"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도 관심
입력 : 2025. 04. 21(월) 18:17

광주광역시청사(왼쪽)와 전라남도청사.
광주시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을 공식화하면서, 수면 아래 가라앉았던 광주 군공항 이전 갈등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무안공항 정상화 로드맵이 지연되는 가운데 광주시가 국제선 기능 부활을 공식화하자 무안군과 지역 시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21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광주시는 지난 15일 국토교통부에 몽골 울란바토르, 베트남 나트랑, 중국 옌지, 장자제 등 4개 노선을 대상으로 한 국제선 임시취항 신청서를 제출했다. 시는 이번 조치가 무안공항 장기 폐쇄로 인한 시민 불편 해소와 관광업계 지원을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김영선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장은 “당초 국토부가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을 3월 중 발표하기로 했지만, 공항 폐쇄기간이 오는 7월까지 연장되며 로드맵 발표 역시 지연됐다”며 “지역민 불편과 관광업계의 어려움이 심각해져 임시취항 신청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국제선 임시취항이 한시적인 조치이며,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무안군과 지역 시민사회는 이번 결정이 무안군민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무안군은 최근 입장문을 통해 “광주시의 국제선 임시취항은 실효성이 떨어지며, 지역 간 갈등만 유발할 것”이라며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을 위한 CIQ(세관·출입국·검역) 시설 설치 및 무안공항 시설 이전 등을 고려하면 무안공항 재개항이 오히려 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광주군공항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무안범대위) 또한 이날 입장문을 내고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대선 공약과제로 ‘민·군공항 통합 이전 추진’을 제시한 것은 10만 무안군민의 의사를 무시한 처사”라고 강력 비판했다.
무안 범대위 관계자는 “작년 10월 강기정 시장이 ‘함흥차사’, ‘양심불량’ 과 같은 언행을 통해 무안군민에게 상처를 준 것에 대해 미안하다고 밝힌 지 6개월 밖에 지나지 않았다”고 꼬집으며 “광주시는 지난 2020년 민간공항 이전 결정을 유보했을 당시부터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이기적인 태도만 관철하며 지역갈등만 조장하고 있다”고 꾸짖었다.
전남도 역시 미온적인 태도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전남도는 차기 대선 공약으로 ‘무안국제공항을 동북아 대표 관문공항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지만, 해당 구상 속에 민·군공항 통합 이전도 포함돼 있어 무안군민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해 11월 광주시에 무안군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 대안을 요구했으나, 진전된 논의는 없는 상태다.
이와 관련해 무안 범대위는 “‘민·군공항 통합 이전 추진’은 지역발전에 저해되는 군사시설을 타 지역으로 떠넘기려는 술책으로 무안군민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대선공약으로 이를 제안한 것은 내년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정치 셈법에 불과하다. 지금이라도 원하는 지역으로 갈 수 있도록 공모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지역 국회의원 8인이 이달 초 발의한 ‘광주 군공항 이전 특별법’ 개정안도 무안 이전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개정안 세부내용이 강기정 시장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마련된 내용인데다 △종전부지와 이전지역 및 이주자에 대한 지원근거 마련 △개발 절차 간소화를 위한 인허가 의제 정비 등 이전 지역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다.
이에 지역 정가 관계자는 “지역간 갈등 봉합을 위해서는 단순한 법 개정이나 항공 노선 조정 수준을 넘는 정부 차원의 중재와 협상이 필요한 만큼 관련 안건이 대선 공약으로 선정된 이후,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중재를 통해 풀어야 한다”며 “광주시와 전남도 또한 지역민들의 수용성 확보를 초점으로 두고 지역 상생과 균형 발전의 관점에서 군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간·군공항 이전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달 말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국토교통부의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 내용에도 귀추가 주목된다. 당초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은 3월 중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수차례 연기된 바 있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무안공항 정상화 로드맵이 지연되는 가운데 광주시가 국제선 기능 부활을 공식화하자 무안군과 지역 시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21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광주시는 지난 15일 국토교통부에 몽골 울란바토르, 베트남 나트랑, 중국 옌지, 장자제 등 4개 노선을 대상으로 한 국제선 임시취항 신청서를 제출했다. 시는 이번 조치가 무안공항 장기 폐쇄로 인한 시민 불편 해소와 관광업계 지원을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김영선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장은 “당초 국토부가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을 3월 중 발표하기로 했지만, 공항 폐쇄기간이 오는 7월까지 연장되며 로드맵 발표 역시 지연됐다”며 “지역민 불편과 관광업계의 어려움이 심각해져 임시취항 신청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국제선 임시취항이 한시적인 조치이며,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무안군과 지역 시민사회는 이번 결정이 무안군민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무안군은 최근 입장문을 통해 “광주시의 국제선 임시취항은 실효성이 떨어지며, 지역 간 갈등만 유발할 것”이라며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을 위한 CIQ(세관·출입국·검역) 시설 설치 및 무안공항 시설 이전 등을 고려하면 무안공항 재개항이 오히려 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광주군공항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무안범대위) 또한 이날 입장문을 내고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대선 공약과제로 ‘민·군공항 통합 이전 추진’을 제시한 것은 10만 무안군민의 의사를 무시한 처사”라고 강력 비판했다.
무안 범대위 관계자는 “작년 10월 강기정 시장이 ‘함흥차사’, ‘양심불량’ 과 같은 언행을 통해 무안군민에게 상처를 준 것에 대해 미안하다고 밝힌 지 6개월 밖에 지나지 않았다”고 꼬집으며 “광주시는 지난 2020년 민간공항 이전 결정을 유보했을 당시부터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이기적인 태도만 관철하며 지역갈등만 조장하고 있다”고 꾸짖었다.
전남도 역시 미온적인 태도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전남도는 차기 대선 공약으로 ‘무안국제공항을 동북아 대표 관문공항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지만, 해당 구상 속에 민·군공항 통합 이전도 포함돼 있어 무안군민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해 11월 광주시에 무안군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 대안을 요구했으나, 진전된 논의는 없는 상태다.
이와 관련해 무안 범대위는 “‘민·군공항 통합 이전 추진’은 지역발전에 저해되는 군사시설을 타 지역으로 떠넘기려는 술책으로 무안군민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대선공약으로 이를 제안한 것은 내년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정치 셈법에 불과하다. 지금이라도 원하는 지역으로 갈 수 있도록 공모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지역 국회의원 8인이 이달 초 발의한 ‘광주 군공항 이전 특별법’ 개정안도 무안 이전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개정안 세부내용이 강기정 시장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마련된 내용인데다 △종전부지와 이전지역 및 이주자에 대한 지원근거 마련 △개발 절차 간소화를 위한 인허가 의제 정비 등 이전 지역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다.
이에 지역 정가 관계자는 “지역간 갈등 봉합을 위해서는 단순한 법 개정이나 항공 노선 조정 수준을 넘는 정부 차원의 중재와 협상이 필요한 만큼 관련 안건이 대선 공약으로 선정된 이후,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중재를 통해 풀어야 한다”며 “광주시와 전남도 또한 지역민들의 수용성 확보를 초점으로 두고 지역 상생과 균형 발전의 관점에서 군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간·군공항 이전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달 말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국토교통부의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 내용에도 귀추가 주목된다. 당초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은 3월 중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수차례 연기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