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운항 ‘수면 위’…성사 여부 ‘주목’
姜시장 “정부·국회 특위 공식 요청”
서남권 관문 공항 계획 마련 촉구
민·군공항 통합이전 동력 확보 포석
道 “무안공항 재개항, 정상화 우선”
서남권 관문 공항 계획 마련 촉구
민·군공항 통합이전 동력 확보 포석
道 “무안공항 재개항, 정상화 우선”
입력 : 2025. 02. 18(화) 18:11

강기정 광주시장이 18일 시청 5층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들과 차담회를 갖고 시정 주요현안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한 무안국제공항 폐쇄 장기화로 광주공항 국제선의 한시적 운항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가 정부에 국제선 임시 운항을 공식 건의하기로 해 성사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광주시의 이같은 결정의 배경에는 무안공항에 대한 정부 주도의 서남권 관문 공항 조성 계획 마련을 촉구하며 답보상태인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문제를 포함시키겠다는 속내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읽혀진다.
강기정 시장은 18일 광주시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무안공항 재개항과 관련해 국토부의 구체적인 계획(로드맵) 발표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무안공항을 언제 어떤 방식으로 재개항 할 것이며 안정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지 등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안공항이 재개항 하기 전까지 광주지역 관광산업 등을 위해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운항을 정부에 공식적으로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시장은 “여객기 참사로 무안공항이 장기 폐쇄되면서 지역민의 글로벌 접근성이 차단되고, 광주지역 관광업계는 여행 취소 2만900여명, 매출 손실 300억원의 타격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역민과 지역 관광업계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운항을 요구하고 있고, 이 요구에 따라 국제선 임시운항을 정부와 국회 특위에서 적극 검토해달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무안공항이 언제, 어떤 조치를 통해 재개항 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하며 나아가 서남권 관문 공항 및 공항도시 조성을 위한 단계적 추진계획도 제시해야 한다”면서 “정부의 결정안에는 광주 민·군공항 통합 이전까지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시장의 공식 건의에도 불구하고 국제선 운항을 위한 승인 절차와 관련시설 설치, 노선 유치 및 조정, 정부의 공항 정책 등 여러 사안을 고려해 볼때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선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국제노선 운항에 필요한 시설물 설치의 경우 광주시는 2개월 정도로 예상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6개월 이상 소요된다. 이 경우 오는 8월에 무안공항이 재개항 할 경우 임시운항을 할 이유가 없어진다. 다만 강 시장이 주장한 안정성 확보 여부가 재개항의 관건이라면 8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
정부 역시 부정적이다. 국토부와 문체부는 최근 광주시, 광주 여행업계와 만남을 갖고 “광주공항도 무안공항 참사 이후 안전시설물 설치 대상에 포함돼 있다”면서 “무안공항이 빠르면 8월에 문을 열 수 있는데 광주공항을 국제공항으로 전환하는 것도 비슷한 시간이 걸린다. 무안공항을 빨리 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강 시장의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 추진은 표면적으로는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관광산업의 고사를 막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되지만, 이면에는 답보상태에 있는 민·군공항 통합 이전의 추진 동력을 얻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광주시는 무안공항을 서남권 관문 공항으로 인정하고 국내선, 국제선과 더불어 군공항까지 통합해 하나의 거점 공항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정부 주도가 아닌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3자만 참여하면서 통합이전 문제는 수년째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강 시장은 “2년 전 전남도지사와 무안을 서남권 관문 공항으로 만들고 통합하자고 한 데에는 변화가 없다”며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3자가 (광주 민간·군공항을 무안으로) 옮기냐 마냐, 합치냐 마느냐 논의했지만, 이제는 정부 주도하에 서남권 관문 공항을 만들 거냐, 어떻게 만들 거냐를 책임 있게 밝혀주고 광주시는 나름의 역할을 할 것이고, 전남도와 무안의 역할이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에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남도 관계자는 “무안공항이 빠르면 8월 재개항 할 수 있는 만큼 서남권 대표 관문 공항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광주시와 전남도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현재로서는 무안공항 정상화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노병하·오지현 기자
광주시의 이같은 결정의 배경에는 무안공항에 대한 정부 주도의 서남권 관문 공항 조성 계획 마련을 촉구하며 답보상태인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문제를 포함시키겠다는 속내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읽혀진다.
강기정 시장은 18일 광주시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무안공항 재개항과 관련해 국토부의 구체적인 계획(로드맵) 발표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무안공항을 언제 어떤 방식으로 재개항 할 것이며 안정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지 등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안공항이 재개항 하기 전까지 광주지역 관광산업 등을 위해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운항을 정부에 공식적으로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시장은 “여객기 참사로 무안공항이 장기 폐쇄되면서 지역민의 글로벌 접근성이 차단되고, 광주지역 관광업계는 여행 취소 2만900여명, 매출 손실 300억원의 타격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역민과 지역 관광업계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운항을 요구하고 있고, 이 요구에 따라 국제선 임시운항을 정부와 국회 특위에서 적극 검토해달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무안공항이 언제, 어떤 조치를 통해 재개항 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하며 나아가 서남권 관문 공항 및 공항도시 조성을 위한 단계적 추진계획도 제시해야 한다”면서 “정부의 결정안에는 광주 민·군공항 통합 이전까지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시장의 공식 건의에도 불구하고 국제선 운항을 위한 승인 절차와 관련시설 설치, 노선 유치 및 조정, 정부의 공항 정책 등 여러 사안을 고려해 볼때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선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국제노선 운항에 필요한 시설물 설치의 경우 광주시는 2개월 정도로 예상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6개월 이상 소요된다. 이 경우 오는 8월에 무안공항이 재개항 할 경우 임시운항을 할 이유가 없어진다. 다만 강 시장이 주장한 안정성 확보 여부가 재개항의 관건이라면 8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
정부 역시 부정적이다. 국토부와 문체부는 최근 광주시, 광주 여행업계와 만남을 갖고 “광주공항도 무안공항 참사 이후 안전시설물 설치 대상에 포함돼 있다”면서 “무안공항이 빠르면 8월에 문을 열 수 있는데 광주공항을 국제공항으로 전환하는 것도 비슷한 시간이 걸린다. 무안공항을 빨리 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강 시장의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 추진은 표면적으로는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관광산업의 고사를 막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되지만, 이면에는 답보상태에 있는 민·군공항 통합 이전의 추진 동력을 얻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광주시는 무안공항을 서남권 관문 공항으로 인정하고 국내선, 국제선과 더불어 군공항까지 통합해 하나의 거점 공항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정부 주도가 아닌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3자만 참여하면서 통합이전 문제는 수년째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강 시장은 “2년 전 전남도지사와 무안을 서남권 관문 공항으로 만들고 통합하자고 한 데에는 변화가 없다”며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3자가 (광주 민간·군공항을 무안으로) 옮기냐 마냐, 합치냐 마느냐 논의했지만, 이제는 정부 주도하에 서남권 관문 공항을 만들 거냐, 어떻게 만들 거냐를 책임 있게 밝혀주고 광주시는 나름의 역할을 할 것이고, 전남도와 무안의 역할이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에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남도 관계자는 “무안공항이 빠르면 8월 재개항 할 수 있는 만큼 서남권 대표 관문 공항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광주시와 전남도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현재로서는 무안공항 정상화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