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안에 '전전긍긍'
소속의원 지역구 상당수 통합
전략 부재에 안일 대응 '불만'
“획정위에 재의 요구할 것”
전략 부재에 안일 대응 '불만'
“획정위에 재의 요구할 것”
입력 : 2023. 12. 06(수) 17:5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홍익표 원내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전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놓은 내년 4월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에 대해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지역구가 상당수 통합된 탓이다. 당내에선 당의 전략 부재와 소통 부재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6일 국회에 제출된 선거구 획정안에 따르면, 서울 노원과 부산 남구, 경기 부천·안산, 전북, 전남 등 6곳의 지역구는 통합됐고, 인천 서구, 경기 평택·하남·화성, 부산 북구, 전남 등 6곳은 분구됐다.
당의 텃밭인 전북에서 1석이 줄어든 데다, 수도권에서 합구된 곳도 대부분 소속 의원들이 현역으로 있는 지역구다.
선거구획정위가 줄이기로 한 노원구(3곳), 경기 부천시(4곳)·안산시(4곳), 전북(4곳) 전남(4곳)은 민주당 의원 지역구다.
대신 수도권에서 인천 서구와,평택·하남·화성은 각각 1곳씩 총 4석이 늘었는데, 이들 지역은 국민의힘 의원이 현역으로 있거나 여야 간 경합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특히 민주당이 합구를 요구한 서울 강남구(3곳)와 대구 달서구(3곳), 부산 일부 지역은 선거구가 유지됐다.
전체적으로 7~8개 의석은 내주고 총선을 시작하는 셈이라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합구 대상에 경기 안산, 서울 노원·강남, 대구 달서가 포함되는 것이 공직선거법에 부합하는 기준인데, 획정위는 국민의힘이 유리한 강남과 달서는 빼고 민주당 우세 지역인 전북과 부천을 포함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역균형발전에서 전북만 1석을 줄인다는 것도 문제”라며 “경계 조정 등을 합리적으로 하면 줄이지 않을 수 있다. 공직선거법에 제시된 지역 균형 발전과 농산어촌의 대표성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당 내부에선 당이 안일하게 대응한 것 아니냐는 불만도 적지않다. 당장 선거제 획정을 총괄한 사무총장과 실무를 맡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간사의 전략 및 소통 부재에 대한 성토가 쏟아졌다.
부천을 지역구로 둔 김상희·김경협 의원 등은 지난 4일 획정위 발표 전 지도부를 찾아 합구된다는 소문이 맞느냐며 항의 방문했고, 전북 지역 의원들도 합구 소식에 반발하며 당의 대응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정개특위 간사와 당 지도부 등 여야 협의를 통해 선거구획정위에 재의를 요구할 계획이다.
‘공직선거법’에 명백히 위반되는 경우, 국회의원 3분의 2 이상 동의를 얻으면 한 차례 재제출 요구가 가능하다. 여야 협의가 필요한 만큼 최종 타결은 내년 1월 이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
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지역구가 상당수 통합된 탓이다. 당내에선 당의 전략 부재와 소통 부재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6일 국회에 제출된 선거구 획정안에 따르면, 서울 노원과 부산 남구, 경기 부천·안산, 전북, 전남 등 6곳의 지역구는 통합됐고, 인천 서구, 경기 평택·하남·화성, 부산 북구, 전남 등 6곳은 분구됐다.
당의 텃밭인 전북에서 1석이 줄어든 데다, 수도권에서 합구된 곳도 대부분 소속 의원들이 현역으로 있는 지역구다.
선거구획정위가 줄이기로 한 노원구(3곳), 경기 부천시(4곳)·안산시(4곳), 전북(4곳) 전남(4곳)은 민주당 의원 지역구다.
대신 수도권에서 인천 서구와,평택·하남·화성은 각각 1곳씩 총 4석이 늘었는데, 이들 지역은 국민의힘 의원이 현역으로 있거나 여야 간 경합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특히 민주당이 합구를 요구한 서울 강남구(3곳)와 대구 달서구(3곳), 부산 일부 지역은 선거구가 유지됐다.
전체적으로 7~8개 의석은 내주고 총선을 시작하는 셈이라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합구 대상에 경기 안산, 서울 노원·강남, 대구 달서가 포함되는 것이 공직선거법에 부합하는 기준인데, 획정위는 국민의힘이 유리한 강남과 달서는 빼고 민주당 우세 지역인 전북과 부천을 포함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역균형발전에서 전북만 1석을 줄인다는 것도 문제”라며 “경계 조정 등을 합리적으로 하면 줄이지 않을 수 있다. 공직선거법에 제시된 지역 균형 발전과 농산어촌의 대표성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당 내부에선 당이 안일하게 대응한 것 아니냐는 불만도 적지않다. 당장 선거제 획정을 총괄한 사무총장과 실무를 맡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간사의 전략 및 소통 부재에 대한 성토가 쏟아졌다.
부천을 지역구로 둔 김상희·김경협 의원 등은 지난 4일 획정위 발표 전 지도부를 찾아 합구된다는 소문이 맞느냐며 항의 방문했고, 전북 지역 의원들도 합구 소식에 반발하며 당의 대응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정개특위 간사와 당 지도부 등 여야 협의를 통해 선거구획정위에 재의를 요구할 계획이다.
‘공직선거법’에 명백히 위반되는 경우, 국회의원 3분의 2 이상 동의를 얻으면 한 차례 재제출 요구가 가능하다. 여야 협의가 필요한 만큼 최종 타결은 내년 1월 이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