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조기 대선 체제 돌입… 이달 말 후보 윤곽 나올듯
입력 : 2025. 04. 05(토) 10:39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를 바치고 집무실로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의 막이 오른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 체제로 당을 전환하기 위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펼쳐나갈 예정이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직후 지도부는 비공개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선 유력주자인 이재명 대표의 사퇴 시기와 경선 일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대선 출마 등에 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지만, 민주당은 이 대표 사퇴 즉시 지도부를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하고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할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당헌 개정·대선특별당규 제정과 예비후보 등록, 경선룰 논의, 선거인단 모집 등 일정을 최대한 빠르게 진행할 전망이다.
예비경선이 없다는 전제하에 본경선을 오는 16일부터 27일까지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강원·제주 등 전국 4개 권역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실시한다는 목표도 전해졌다.
현재 이 대표 측은 당초 오는 7일 사퇴를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8일 또는 9일로 사퇴일을 늦추는 안도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오는 6일 의원총회를 열고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정국 수습 방안과 대선 체제 전환 등에 관한 총의를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파면 이후 첫 비상대책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7일에는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의결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권 내 대선주자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여기에 잠재적 대선주자로 꼽히는 나경원 의원과 김태흠 충남지사, 박형준 부산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등 지자체장을 포함하면 후보가 10여명을 훌쩍 넘기며 난전이 예상된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시간은 촉박하지만 절대로 물러설 수 없고 져서는 안 될 선거”라며 “피와 땀과 눈물로 지키고 가꿔온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험천만한 이재명 세력에게 맡길 수 없다”고 말했다.
조기 대선은 헌법상 대통령 궐위 후 60일 이내인 6월3일까지 치러지게 된다. 이를 기준으로 대선 후보 등록일은 5월10일부터 11일까지, 공식 선거운동은 5월12일 시작된다. 정확한 대선 날짜는 오는 8일 정례 국무회의에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곽지혜 기자
5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직후 지도부는 비공개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선 유력주자인 이재명 대표의 사퇴 시기와 경선 일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대선 출마 등에 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지만, 민주당은 이 대표 사퇴 즉시 지도부를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하고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할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당헌 개정·대선특별당규 제정과 예비후보 등록, 경선룰 논의, 선거인단 모집 등 일정을 최대한 빠르게 진행할 전망이다.
예비경선이 없다는 전제하에 본경선을 오는 16일부터 27일까지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강원·제주 등 전국 4개 권역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실시한다는 목표도 전해졌다.
현재 이 대표 측은 당초 오는 7일 사퇴를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8일 또는 9일로 사퇴일을 늦추는 안도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오는 6일 의원총회를 열고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정국 수습 방안과 대선 체제 전환 등에 관한 총의를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파면 이후 첫 비상대책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7일에는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의결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권 내 대선주자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여기에 잠재적 대선주자로 꼽히는 나경원 의원과 김태흠 충남지사, 박형준 부산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등 지자체장을 포함하면 후보가 10여명을 훌쩍 넘기며 난전이 예상된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시간은 촉박하지만 절대로 물러설 수 없고 져서는 안 될 선거”라며 “피와 땀과 눈물로 지키고 가꿔온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험천만한 이재명 세력에게 맡길 수 없다”고 말했다.
조기 대선은 헌법상 대통령 궐위 후 60일 이내인 6월3일까지 치러지게 된다. 이를 기준으로 대선 후보 등록일은 5월10일부터 11일까지, 공식 선거운동은 5월12일 시작된다. 정확한 대선 날짜는 오는 8일 정례 국무회의에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