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칼럼>미국의 금리안하, 호재일까 악재일까
송호 경제 칼럼니스트
입력 : 2024. 09. 19(목) 13:04
송호 경제 칼럼니스트
미국 연방준비제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한국 시간 19일, 금리를 0.50%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했다. 연내 0.5%포인트 추가 인하까지 시사했다. 금리인하는 주식, 부동산, 비트코인, 원자재 시장 등 거의 모든 자산시장의 가장 큰 호재다. 금리를 인하 한다는 것은 양적완화, 즉 돈을 시장에 풀겠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리인하를 무조건 호재로만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두 가지 경제지표는 소비자 물가지수와 실업률이다. 물가지수가 내려가거나 안정되고 동시에 실업률이 올라가면 금리를 내린다. 반대의 경우에는 금리를 올린다. 그래서 금리를 인하한다는 것은 불황이 시작됐거나 곧 시작될 수도 있다는 의미가 있다. 연준도 이날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이 계속 견고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역사적으로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가 지속되거나 오히려 더 깊어졌던 사례는 다수가 존재한다. 1930년대 대공황 때 연준이 금리를 대폭 인하했었으나 은행들이 파산하고 신용경색이 심화되면서 경기침체가 장기화됐고,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연준을 비롯한 세계의 주요 중앙은행들이 사상 최저로 금리인하를 단행했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저성장과 불황이 장기화됐다. 심지어 일본에서는 1990년대 자산버블 붕괴 이후 여러 차례 금리를 인하해서 극단적인 제로금리를 오랫동안 시행했으나 수 십 년간 디플레이션을 벗어나지 못했다.

과거의 사례가 주는 교훈은 금리인하가 적절한 타이밍을 놓치면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불황으로 부동산과 주식시장이 무너지고 중견기업이 도산하게 되면 은행들마저 위험에 노출되고 이는 신뢰의 문제로 이어져 신용경색이 만연되면서 백약이 무효가 된다. 그래서 금리인하와 더불어 금리인상의 타이밍을 잡아내고 금리의 폭을 결정하는 일은 예술에 가까운 어려운 일이다. 특히 선거를 의식한 정치권이 개입할 경우 배가 산으로 올라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현재 연준의 금리인하가 골든 타이밍을 잡았는지 아닌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다. 제대로 타이밍을 맞췄다면 큰 호재가 될 것이고 실기했다면 오랜 시간을 인내해야 할 것이다. 송호 경제 칼럼니스트
테마칼럼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