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국립의대 추진 재점화…통합모델 유지 관건
이재명 "의대 설립으로 인력 양성"
양 대학 캠퍼스·병원 마련 불투명
통합 모델 균열시 갈등 재연 우려
도 관계자 "통합 방침은 변함없다"
양 대학 캠퍼스·병원 마련 불투명
통합 모델 균열시 갈등 재연 우려
도 관계자 "통합 방침은 변함없다"
입력 : 2025. 04. 27(일) 15:44

25일 전라남도 나주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열린 농업과학기술진흥 간담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와 김영록 전남 지사가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전남 국립의대 설립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전남도민들의 30년 숙원이던 전남 국립의대 설립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7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이 후보는 지난 24일 발표한 호남권 공약을 통해 “의대가 없는 유일한 광역지자체인 전남과 서남대 의대가 폐교된 전북에 국립 의대를 신설해 공공·필수·지역의료 인력을 직접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의 공약에 정부의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로 인해 2027년 통합 국립의대 개교를 목표로 전략을 수정한 전라남도는 환영의 목소리를 높였다. 목포대와 순천대 또한 이 후보의 공약을 적극 환영하며 예정대로 대학 통합을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통합 이후 캠퍼스와 대학병원 체제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목포대와 순천대 모두 의대 캠퍼스와 대학병원을 마련하는 방안이 가능할지 불투명해서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는 최근 열린 지역 간담회서 “전남 국립의대 신설 문제는 지난해 전남도가 빨리 하나의 대학을 결정해 2025학년도 정원 배정을 받았어야 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의료 교육과 시설을 분산하기보다는 특정 지역과 대학을 신속히 선정해 추진했어야 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어렵사리 합의된 ‘목포대·순천대 통합 모델’을 거스르고 지역 공모 등 새로운 절차를 밟게 될 경우, 유치 경쟁으로 인한 지역 갈등이 또다시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만큼 정부와 정치권, 전남도의 치밀한 대응 전략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전라남도는 목포대와 순천대, 지역 의료계 등이 참여하는 의대 설립 공동 준비위원회를 구성해 정부와 의료계를 설득할 계획이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말 두 대학이 통합에 합의한 이후 통합대학교로 의대 설립을 추진하는 기본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30여 년간 의대 신설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지역 화합을 위해 통합 의과대학 모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27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이 후보는 지난 24일 발표한 호남권 공약을 통해 “의대가 없는 유일한 광역지자체인 전남과 서남대 의대가 폐교된 전북에 국립 의대를 신설해 공공·필수·지역의료 인력을 직접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의 공약에 정부의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로 인해 2027년 통합 국립의대 개교를 목표로 전략을 수정한 전라남도는 환영의 목소리를 높였다. 목포대와 순천대 또한 이 후보의 공약을 적극 환영하며 예정대로 대학 통합을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통합 이후 캠퍼스와 대학병원 체제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목포대와 순천대 모두 의대 캠퍼스와 대학병원을 마련하는 방안이 가능할지 불투명해서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는 최근 열린 지역 간담회서 “전남 국립의대 신설 문제는 지난해 전남도가 빨리 하나의 대학을 결정해 2025학년도 정원 배정을 받았어야 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의료 교육과 시설을 분산하기보다는 특정 지역과 대학을 신속히 선정해 추진했어야 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어렵사리 합의된 ‘목포대·순천대 통합 모델’을 거스르고 지역 공모 등 새로운 절차를 밟게 될 경우, 유치 경쟁으로 인한 지역 갈등이 또다시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만큼 정부와 정치권, 전남도의 치밀한 대응 전략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전라남도는 목포대와 순천대, 지역 의료계 등이 참여하는 의대 설립 공동 준비위원회를 구성해 정부와 의료계를 설득할 계획이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말 두 대학이 통합에 합의한 이후 통합대학교로 의대 설립을 추진하는 기본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30여 년간 의대 신설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지역 화합을 위해 통합 의과대학 모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