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아파트 가격 하락세 지속…전세가는 상승
●한국부동산원, 아파트가격동향
매매가격 전주 대비 0.05% 하락
전세가격 변동률은 0.03% 올라
전남지역 매매·전세가 동반 하락
매매가격 전주 대비 0.05% 하락
전세가격 변동률은 0.03% 올라
전남지역 매매·전세가 동반 하락
입력 : 2025. 02. 20(목) 18:06

광주·전남지역을 포함한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이 심각한 반면, 서울시는 전주 대비 아파트 매매 가격이 0.06% 상승하며 직전 주(0.02%)와 비교해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광주지역 아파트 매매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반면 전세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지역은 아파트 매매·전세 모두 가격이 하락세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2월 3주(17일 기준) 광주지역 아파트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비교해 -0.05% 하락했다. 광주지역 아파트 가격 하락세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다.
자치구별로는 남구의 하락폭(-0.09%)이 가장 컸으며, 북구(-0.08%), 동구(-0.05%), 서구·광산구(-0.03%)가 뒤를 이었다. 직전 주와 비교해 하락폭이 가장 크게 확대된 자치구는 북구(-0.03→-0.08%)로, 이어 남구(-0.05→-0.09%), 서구(-0.02→-0.03%) 등 순이었으며, 동구(-0.07→-0.05%)와 광산구(-0.05→-0.03%)는 하락폭이 완화됐다.
반면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03% 오르며, 올해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치구별로 보면 북구(0.05%)의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동구·남구·광산구(0.04%)가 뒤를 이었고, 서구(-0.01%)는 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전남지역 역시 아파트 매매 가격이 전주 대비 -0.08% 하락하며, 전 주(-0.04%)보다 하락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시(-0.46%)는 중동 대단지 및 광양읍 위주로, 여수시(-0.04%)는 문수동·돌산읍 위주로 하락했다. 이어 순천시·무안군(-0.03%), 나주시(-0.01%) 등 순이었다.
아파트 전세 가격도 전주 대비 -0.02% 하락하며, 전 주(-0.01%)와 비교해 하락폭이 확대됐다. 전남지역 전세가격 변동률은 올해들어 △1월 1주 -0.02% △1월 2주 -0.01% △1월 3주 0.00% △2월 1주 0.01% △2월 2주 -0.01% 등으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이처럼 광주·전남지역을 포함한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이 심각한 반면, 서울시는 전주 대비 아파트 매매 가격이 0.06% 상승하며 전 주(0.02%)와 비교해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재건축 및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도희망가격이 상승하고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올해 서울시 매매가격 변동률은 1월 1~3주까지 0.00%로 보합세를 보이다가, 2월 1주 0.02% △2월 2주 0.02% △2월 3주 0.06%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세가격 변동률 역시 전주 대비 0.02% 상승했으며, 직전 주(0.02%)와 상승폭은 동일했다.
외곽 및 구축에서는 전세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으나, 학군지 및 역세권 등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에서는 임차 문의가 꾸준히 유지되고 상승계약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
전국 기준 가격동향을 보면 2월 3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다.
나다운 기자 dawoon.na@jnilbo.com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2월 3주(17일 기준) 광주지역 아파트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비교해 -0.05% 하락했다. 광주지역 아파트 가격 하락세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다.
자치구별로는 남구의 하락폭(-0.09%)이 가장 컸으며, 북구(-0.08%), 동구(-0.05%), 서구·광산구(-0.03%)가 뒤를 이었다. 직전 주와 비교해 하락폭이 가장 크게 확대된 자치구는 북구(-0.03→-0.08%)로, 이어 남구(-0.05→-0.09%), 서구(-0.02→-0.03%) 등 순이었으며, 동구(-0.07→-0.05%)와 광산구(-0.05→-0.03%)는 하락폭이 완화됐다.
반면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03% 오르며, 올해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치구별로 보면 북구(0.05%)의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동구·남구·광산구(0.04%)가 뒤를 이었고, 서구(-0.01%)는 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전남지역 역시 아파트 매매 가격이 전주 대비 -0.08% 하락하며, 전 주(-0.04%)보다 하락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시(-0.46%)는 중동 대단지 및 광양읍 위주로, 여수시(-0.04%)는 문수동·돌산읍 위주로 하락했다. 이어 순천시·무안군(-0.03%), 나주시(-0.01%) 등 순이었다.
아파트 전세 가격도 전주 대비 -0.02% 하락하며, 전 주(-0.01%)와 비교해 하락폭이 확대됐다. 전남지역 전세가격 변동률은 올해들어 △1월 1주 -0.02% △1월 2주 -0.01% △1월 3주 0.00% △2월 1주 0.01% △2월 2주 -0.01% 등으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이처럼 광주·전남지역을 포함한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이 심각한 반면, 서울시는 전주 대비 아파트 매매 가격이 0.06% 상승하며 전 주(0.02%)와 비교해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재건축 및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도희망가격이 상승하고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올해 서울시 매매가격 변동률은 1월 1~3주까지 0.00%로 보합세를 보이다가, 2월 1주 0.02% △2월 2주 0.02% △2월 3주 0.06%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세가격 변동률 역시 전주 대비 0.02% 상승했으며, 직전 주(0.02%)와 상승폭은 동일했다.
외곽 및 구축에서는 전세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으나, 학군지 및 역세권 등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에서는 임차 문의가 꾸준히 유지되고 상승계약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
전국 기준 가격동향을 보면 2월 3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