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시기 장흥 민간인 희생 '진실규명'
군경에 의해 지역주민 26명 희생
진화위, 국가 사과·피해회복 권고
진화위, 국가 사과·피해회복 권고
입력 : 2025. 02. 18(화) 18:32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로고.
한국전쟁 발발 전후 장흥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사건의 실태가 드러났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화위)는 18일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열린 제98차 위원회에서 ‘장흥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사건’에 대해 진실규명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1948년 7월부터 1951년 5월까지 장흥군 대덕면, 관산면에 거주하던 민간인 26명이 부역혐의자 및 그 가족이라는 이유 등으로 경찰에게 불법적으로 희생된 사건이다.
진화위는 신청사건 26건(26명)에 관한 제적등본, 족보, 행형기록, 학적부, 1기 진실화해위원회의 장흥지역 사건 기록, 신청인과 참고인 등을 통해 종합적인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장흥군 대덕면, 관산면 거주 민간인 26명이 부역 혐의 등으로 희생된 사실을 확인했다. 가해 주체는 장흥경찰 및 각 면 지서 소속 경찰로 확인됐다.
진화위는 국가·지방자치단체에 대해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 피해 회복을 위한 조치, 추모사업 지원, 역사 기록 반영, 평화인권교육 실시 등을 권고했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화위)는 18일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열린 제98차 위원회에서 ‘장흥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사건’에 대해 진실규명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1948년 7월부터 1951년 5월까지 장흥군 대덕면, 관산면에 거주하던 민간인 26명이 부역혐의자 및 그 가족이라는 이유 등으로 경찰에게 불법적으로 희생된 사건이다.
진화위는 신청사건 26건(26명)에 관한 제적등본, 족보, 행형기록, 학적부, 1기 진실화해위원회의 장흥지역 사건 기록, 신청인과 참고인 등을 통해 종합적인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장흥군 대덕면, 관산면 거주 민간인 26명이 부역 혐의 등으로 희생된 사실을 확인했다. 가해 주체는 장흥경찰 및 각 면 지서 소속 경찰로 확인됐다.
진화위는 국가·지방자치단체에 대해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 피해 회복을 위한 조치, 추모사업 지원, 역사 기록 반영, 평화인권교육 실시 등을 권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