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집인원 조정' 앞장 이주호 권한대행… '의대 정상화' 관심
입력 : 2025. 05. 03(토) 10:03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달 2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으며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의대 교육 파행 사태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일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의대생들의 대규모 수업 복귀 움직임은 없는 가운데 유급을 앞뒀던 지난 4월 말 이후 의대생들과의 대화 일정이 추가된 것도 없다.
의대 교육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한 지난해 2월 이후 파행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3058명으로 조정하는 결정을 내렸지만, 지난 4월30일까지도 학생들의 복귀가 이뤄지지 않는 등 대규모 유급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 이 부총리가 지난 2일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아 새 국면에 돌입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 권한대행은 의정갈등 상황에서 의대생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쪽으로, 이번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역시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문제는 정부가 의대 모집인원까지 조정한 상태에서 정부가 더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이다.
일부 의대생들은 새 정부가 들어서면 지난해와 같은 학사유연화가 있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부와 대학 총장, 의대 학장들 모두 올해는 학사유연화가 없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실제로 전날까지 순천향대 606명, 을지대 299명, 인제대 557명, 차의과대 190명, 건양대 264명 등 5개교 1916명의 의대생들이 학칙상 1개월 이상 무단결석을 해 제적 예정 통보를 받았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필수의료 패키지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의대 정원을 제외하면 대부분 보건복지부 소관이어서 이 권한대행이 직접 폐지나 수정을 요구하기도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곽지혜 기자
3일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의대생들의 대규모 수업 복귀 움직임은 없는 가운데 유급을 앞뒀던 지난 4월 말 이후 의대생들과의 대화 일정이 추가된 것도 없다.
의대 교육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한 지난해 2월 이후 파행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3058명으로 조정하는 결정을 내렸지만, 지난 4월30일까지도 학생들의 복귀가 이뤄지지 않는 등 대규모 유급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 이 부총리가 지난 2일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아 새 국면에 돌입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 권한대행은 의정갈등 상황에서 의대생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쪽으로, 이번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역시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문제는 정부가 의대 모집인원까지 조정한 상태에서 정부가 더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이다.
일부 의대생들은 새 정부가 들어서면 지난해와 같은 학사유연화가 있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부와 대학 총장, 의대 학장들 모두 올해는 학사유연화가 없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실제로 전날까지 순천향대 606명, 을지대 299명, 인제대 557명, 차의과대 190명, 건양대 264명 등 5개교 1916명의 의대생들이 학칙상 1개월 이상 무단결석을 해 제적 예정 통보를 받았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필수의료 패키지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의대 정원을 제외하면 대부분 보건복지부 소관이어서 이 권한대행이 직접 폐지나 수정을 요구하기도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