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민소통 필요한 첨단대교 지상화 논란
일방 추진보다 신뢰 우선돼야
입력 : 2025. 07. 14(월) 17:18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유일한 지상 구간인 첨단대교 노선을 두고 주민들과 광주광역시의 갈등이 깊다. 주민들은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우려하며 지하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시는 막대한 예산과 정부 승인, 공사 지연 등을 이유로 사실상 불가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광주시는 대안으로 차선 확장, 우회로 확보, 보행로 정비 등 교통개선책을 제시했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공청회 현장에서 제기된 “광신대교는 지하화하고, 첨단대교는 왜 안 되는가”라는 질문은 상식적이고 당연한 문제 제기다. 이에 대한 시의 해명은 “첨단대교는 내진설계가 돼 있어 안전하다”는 것이지만, 이는 시민의 피부에 와 닿지 않는 기술적 설명일 뿐이다. 시가 주장하는 ‘지상 경전철의 안전성’이나 ‘소음 저감’ 기술은 과학적으로 타당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은 수치나 설계보다 시민의 수용성과 신뢰 위에 세워져야 한다.
지하화를 원하는 목소리가 높다면, 단순히 ‘불가능하다’고 일축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비용편익분석과 대안 비교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했다. 특히 첨단대교 인근은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상권이 밀집해 있고, 출퇴근 차량과 통학 인구도 많은 곳이다. 단순한 차선 확장만으로는 근본적인 교통 불편 해소에 한계가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대중교통 수요 예측과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다시 검토가 필요하다. 시민의 안전과 불편 해소를 위한 공공투자는 지출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책임 있는 선택이라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더구나 이번 사안은 단순한 교통 문제가 아니라 시민 삶의 질, 나아가 도시의 신뢰도와 직결된 문제다. 광주시가 ‘설득’이 아닌 ‘통보’로 정책을 밀어붙인다면, 이후 사업의 추진 동력마저 잃게 될 것이다. 광주는 도시철도 2호선을 놓고 이미 수년간 사업 지연과 예산 낭비로 신뢰를 잃은 바 있다.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첨단대교 구간에 대한 결정은 ‘행정의 논리’보다 ‘시민의 시선’에서 내려져야 한다.
광주시는 대안으로 차선 확장, 우회로 확보, 보행로 정비 등 교통개선책을 제시했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공청회 현장에서 제기된 “광신대교는 지하화하고, 첨단대교는 왜 안 되는가”라는 질문은 상식적이고 당연한 문제 제기다. 이에 대한 시의 해명은 “첨단대교는 내진설계가 돼 있어 안전하다”는 것이지만, 이는 시민의 피부에 와 닿지 않는 기술적 설명일 뿐이다. 시가 주장하는 ‘지상 경전철의 안전성’이나 ‘소음 저감’ 기술은 과학적으로 타당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은 수치나 설계보다 시민의 수용성과 신뢰 위에 세워져야 한다.
지하화를 원하는 목소리가 높다면, 단순히 ‘불가능하다’고 일축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비용편익분석과 대안 비교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했다. 특히 첨단대교 인근은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상권이 밀집해 있고, 출퇴근 차량과 통학 인구도 많은 곳이다. 단순한 차선 확장만으로는 근본적인 교통 불편 해소에 한계가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대중교통 수요 예측과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다시 검토가 필요하다. 시민의 안전과 불편 해소를 위한 공공투자는 지출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책임 있는 선택이라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더구나 이번 사안은 단순한 교통 문제가 아니라 시민 삶의 질, 나아가 도시의 신뢰도와 직결된 문제다. 광주시가 ‘설득’이 아닌 ‘통보’로 정책을 밀어붙인다면, 이후 사업의 추진 동력마저 잃게 될 것이다. 광주는 도시철도 2호선을 놓고 이미 수년간 사업 지연과 예산 낭비로 신뢰를 잃은 바 있다.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첨단대교 구간에 대한 결정은 ‘행정의 논리’보다 ‘시민의 시선’에서 내려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