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24구 멀티콘센트’서 발화
전기적 요인, 국내 화재 원인 두번째
입력 : 2025. 07. 14(월) 15:27

화재 발생한 조선대학교병원 수술실. 연합뉴스
대형 종합병원인 광주 조선대병원 수술실에서 발생한 화재가 전력공급장치에서 시작된 것으로 파악되면서, 소방 당국이 전기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 화재 원인 조사에 나섰다.
14일 광주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12분께 광주 동구 학동에 위치한 조선대병원 신관 3층 7번 수술실에서 화재 신고가 접수됐다.
불은 수술실 내 의료용 전력공급장치에서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장치는 수술용 의료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른바 ‘의료용 멀티콘센트’로 사각기둥 형태로 설치돼 110V 2구, 220V 4구씩 4면에 총 24개의 소켓을 갖춘 구조다.
당시 이 장치에 일부 의료기기가 연결돼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지만, 정확한 기기 종류와 사용 전력 규모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소방당국은 해당 장치에서 화재가 시작된 만큼 누전, 전력 과부하, 전선 단락 등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정밀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실제로 전기적 요인은 국내 화재 발생 원인 중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소방청 화재통계연감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전체 화재 40만5977건 중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9만6901건(23.9%)으로 집계됐다. 이는 부주의(20만931건, 49.5%)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지난해 전국 의료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168건이며 7명이 부상을 입고 12억1400만 원 규모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의료진이 소화기와 옥내소화전을 이용해 약 10여분만에 자체 진화했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 35명이 연기를 흡입, 일부는 산소 치료를 받고 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같은 건물에 있던 환자 및 의료진 등 40명도 스스로 대피했다.
화재 당시 비상경보기 등 소방시설은 정상 작동했고, 수술실에는 스프링클러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수술실은 설비 특성상 물 피해가 더 심각할 수 있어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화재 원인은 아직 섣불리 단정할 수 없다”며 “과학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명확한 원인을 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유철 기자·연합뉴스
14일 광주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12분께 광주 동구 학동에 위치한 조선대병원 신관 3층 7번 수술실에서 화재 신고가 접수됐다.
불은 수술실 내 의료용 전력공급장치에서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장치는 수술용 의료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른바 ‘의료용 멀티콘센트’로 사각기둥 형태로 설치돼 110V 2구, 220V 4구씩 4면에 총 24개의 소켓을 갖춘 구조다.
당시 이 장치에 일부 의료기기가 연결돼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지만, 정확한 기기 종류와 사용 전력 규모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소방당국은 해당 장치에서 화재가 시작된 만큼 누전, 전력 과부하, 전선 단락 등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정밀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실제로 전기적 요인은 국내 화재 발생 원인 중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소방청 화재통계연감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전체 화재 40만5977건 중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9만6901건(23.9%)으로 집계됐다. 이는 부주의(20만931건, 49.5%)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지난해 전국 의료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168건이며 7명이 부상을 입고 12억1400만 원 규모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의료진이 소화기와 옥내소화전을 이용해 약 10여분만에 자체 진화했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 35명이 연기를 흡입, 일부는 산소 치료를 받고 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같은 건물에 있던 환자 및 의료진 등 40명도 스스로 대피했다.
화재 당시 비상경보기 등 소방시설은 정상 작동했고, 수술실에는 스프링클러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수술실은 설비 특성상 물 피해가 더 심각할 수 있어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화재 원인은 아직 섣불리 단정할 수 없다”며 “과학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명확한 원인을 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