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규제 열흘…서울 집값 급등세 ‘일단 제동’
강남 중심 상승폭 둔화·거래량 급감
영등포 등 풍선효과 가능성도 제기
이재명 “맛보기…추가 규제 준비 중”
입력 : 2025. 07. 06(일) 11:01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시행된 지 열흘이 지나면서 서울 부동산 시장의 과열 기류가 눈에 띄게 잦아들고 있다. 거래량은 급감했고, 강남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폭이 축소되는 모습이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대책 시행 전 일주일(6월20일~26일) 동안 서울 아파트 거래는 1629건이었으나, 대책 이후 일주일(6월27일~7월3일) 거래는 577건으로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매수세 위축과 관망 기류가 본격화됐다고 평가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다섯째주(6월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에서는 상승률이 0.40%로 직전 주(0.43%)보다 낮아졌다. 특히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의 오름폭이 크게 줄었다. 강남구 상승률은 0.84%에서 0.73%로, 송파구는 0.88%에서 0.75%로 둔화됐다.

이번 규제는 6억원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사실상 차단하고 6개월 내 전입신고를 의무화해 ‘갭투자’ 수요까지 차단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이번 대책은 기존 대출 규제보다 강도가 높아 시장에 충격을 준 상황”이라며 “거래 감소에 이어 곧 가격 상승폭도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추가 대책을 시사한 점도 관망세를 부추겼다. 이 대통령은 “이번 대책은 맛보기에 불과하다”며 “수요 억제와 공급 확대를 위한 추가 조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전문가들은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놨다. 문재인 정부 때도 유사한 대출 규제가 시행 직후 단기 효과를 냈으나, 6개월 후부터 가격과 거래량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바 있다.

부동산원의 통계에서도 강남권 상승세가 둔화하는 반면 영등포, 양천 등 일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더 오르는 ‘풍선효과’ 조짐이 감지됐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이번 규제는 단기 과열을 잡는 효과는 분명하지만, 공급 부족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매매·전월세 시장 모두 불안이 장기화할 수 있다”며 “추가 대책은 반드시 공급 확대와 균형 발전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새 정부가 강도 높은 수요억제 정책을 먼저 꺼내든 만큼 향후 시장 흐름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노병하 기자·연합뉴스
경제일반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