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금호타이어 화재, 특별재난·고용위기지역 지정' 건의
대형화재로 공장 가동 전면 중단
정부에 특별교부세 지급 등 요청
대기오염 회복·2차 피해 차단도
정부에 특별교부세 지급 등 요청
대기오염 회복·2차 피해 차단도
입력 : 2025. 05. 19(월) 13:24

지난 19일 오전 소방당국이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정준 기자
광주광역시가 금호타이어 제2공장 화재로 위협받는 2350여명 노동자의 고용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정부에 요청하고 나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9일 오전 시청 5층 기자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행정안전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고, 특별교부세 지원도 요청했다”고 밝혔다.
지난 17일 발생한 금호타이어 제2공장 화재는 부지의 약 3분의 2를 소실시켰으며, 이로 인해 임직원 2200여명, 식당·경비 인력 150여명 등 총 2350명의 고용이 위협받는 상황이다.
이에 강 시장은 “이번 금호타이어 화재는 공장의 물리적 피해를 넘어 근로자의 고용 불안을 초래한 중대한 사건”이라며 “화재가 지역경제 고용 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장 재가동이 상당기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근로자 해고 등 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 6개월 이상의 고용지원 혜택이 주어지고 사업주가 지켜야 할 법적의무가 유예돼 근로자와 사업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기오염 회복, 2차 피해 차단 활동도 진행 중이다.
강 시장은 “2차 피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광산구청에서 피해접수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며 “현재 매시간 대기오염도 측정, 도로 청소를 통한 분진 재비산 차단, 유해물질 노출 가능성이 있는 소방대원 건강검진 실시 등을 추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오염물질 농도는 사고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고, 시민들의 야외 활동에도 큰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시장은 “이 화재 사고의 원인이나 책임 소재와 별개로, 지금 중요한 것은 고용 안정”이라며 “책임 규명은 이후의 문제다. 지금은 근로자의 생계가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회사·지자체가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강기정 광주시장은 19일 오전 시청 5층 기자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행정안전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고, 특별교부세 지원도 요청했다”고 밝혔다.
지난 17일 발생한 금호타이어 제2공장 화재는 부지의 약 3분의 2를 소실시켰으며, 이로 인해 임직원 2200여명, 식당·경비 인력 150여명 등 총 2350명의 고용이 위협받는 상황이다.
이에 강 시장은 “이번 금호타이어 화재는 공장의 물리적 피해를 넘어 근로자의 고용 불안을 초래한 중대한 사건”이라며 “화재가 지역경제 고용 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장 재가동이 상당기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근로자 해고 등 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 6개월 이상의 고용지원 혜택이 주어지고 사업주가 지켜야 할 법적의무가 유예돼 근로자와 사업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기오염 회복, 2차 피해 차단 활동도 진행 중이다.
강 시장은 “2차 피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광산구청에서 피해접수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며 “현재 매시간 대기오염도 측정, 도로 청소를 통한 분진 재비산 차단, 유해물질 노출 가능성이 있는 소방대원 건강검진 실시 등을 추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오염물질 농도는 사고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고, 시민들의 야외 활동에도 큰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시장은 “이 화재 사고의 원인이나 책임 소재와 별개로, 지금 중요한 것은 고용 안정”이라며 “책임 규명은 이후의 문제다. 지금은 근로자의 생계가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회사·지자체가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