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공공비축기지, 전략거점 전남에 세워야
최명수 道의원 건의안 발의
입력 : 2025. 05. 11(일) 17:52
전라남도의회 최명수 의원이 전남에 공공비축기지 건립을 촉구하는 건의안을 대표 발의했다. 기후위기와 국제 곡물시장 불안정으로 인한 식량 위기에 대비해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비축기지를 전남에 건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절대 식량부족국가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면 당연한 주장이다.
열악한 식량상황에서 상시 비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식량안보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곡물자급률이 22.3%에 불과하다. 주식인 쌀을 제외하면 보리쌀 자급률은 25.7%, 밀과 콩은 각각 0.7%와 0.8%밖에 되지 않는다. 식량 수급이 이 정도 취약하다면 진즉 정부 차원에서 식량비축을 중요한 국가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발전시켰어야 한다. 선제적 대응이 충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늦었지만 정부가 현재 노후 비축기지 매각과 함께 권역별 대형화·현대화된 비축기지 신설을 추진하는 것은 옳다.
지리적·경제적 측면에서 전남에 설치 돼야 할 당위성도 많다. 당장 전남은 대규모 항만 인프라가 발달해 있고 국내 주요 곡창지대 중 하나다. 당연히 현지에 비축시설을 구축하면 생산과 수급, 비축의 효율적 연계로 유통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비축기지 건설을 통해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고, 저장·물류 기술 혁신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 식량 안보뿐 아니라 지역 간 격차 해소에 도움을 준다. 대형 시설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해 지속가능성을 높인다는 의미도 크다. 최 의원의 지적처럼 ‘전남은 단순한 후보지를 넘어 전략 거점’인 셈이다.
효율적인 농산물 비축 역량 제고는 현 정부의 중점 추진 과제중 하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남에 공공비축기지를 설립해 인구감소와 농촌소멸, 기후변화 등 대내·외 여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전남도 또한 전남이 남부권 식량안보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공공비축기지 건립에 적극 나서야 한다. 공공비축기지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적 식량 자급률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적 선택이다.
열악한 식량상황에서 상시 비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식량안보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곡물자급률이 22.3%에 불과하다. 주식인 쌀을 제외하면 보리쌀 자급률은 25.7%, 밀과 콩은 각각 0.7%와 0.8%밖에 되지 않는다. 식량 수급이 이 정도 취약하다면 진즉 정부 차원에서 식량비축을 중요한 국가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발전시켰어야 한다. 선제적 대응이 충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늦었지만 정부가 현재 노후 비축기지 매각과 함께 권역별 대형화·현대화된 비축기지 신설을 추진하는 것은 옳다.
지리적·경제적 측면에서 전남에 설치 돼야 할 당위성도 많다. 당장 전남은 대규모 항만 인프라가 발달해 있고 국내 주요 곡창지대 중 하나다. 당연히 현지에 비축시설을 구축하면 생산과 수급, 비축의 효율적 연계로 유통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비축기지 건설을 통해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고, 저장·물류 기술 혁신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 식량 안보뿐 아니라 지역 간 격차 해소에 도움을 준다. 대형 시설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해 지속가능성을 높인다는 의미도 크다. 최 의원의 지적처럼 ‘전남은 단순한 후보지를 넘어 전략 거점’인 셈이다.
효율적인 농산물 비축 역량 제고는 현 정부의 중점 추진 과제중 하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남에 공공비축기지를 설립해 인구감소와 농촌소멸, 기후변화 등 대내·외 여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전남도 또한 전남이 남부권 식량안보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공공비축기지 건립에 적극 나서야 한다. 공공비축기지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적 식량 자급률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적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