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기회발전특구’ 지정, 기업 이전 동력 삼아야
10년간 법인세 50~100% 감면
기업 상속 공제대상 확대 ‘호재’
AI 유치기업 13개사 철수·폐쇄
“기존 이전기업 지원도 늘려야”
기업 상속 공제대상 확대 ‘호재’
AI 유치기업 13개사 철수·폐쇄
“기존 이전기업 지원도 늘려야”
입력 : 2024. 11. 12(화) 18:35
강기정 광주시장이 12일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광주 인공지능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AI유치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인공지능(AI) 기업들의 광주 이전이 속속 이뤄지면서 ‘AI 대표도시 광주’ 입지가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
최근 광주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 △10년에 걸쳐 법인세 50~100% 감면 △기업 상속 공제대상 확대 등의 혜택을 적극 홍보해 타 지역 기업의 광주 이전을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기업 유치뿐 아니라 기존 이전기업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다”며 광주시의 지원 확대를 호소하고 있다.
광주시는 12일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그린에이아이, ㈜뉴럴디, ㈜마이렌, ㈜모아이, ㈜제이지파워넷, 카투㈜, 코코넛사일로㈜, 텐에이젼트㈜, ㈜티엠씨솔루션즈, ㈜헤리티지아이티 등 AI 유망기업 10개사와 235~244번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기업은 법인 또는 지역사무소 설립을 통해 AI 전문분야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추진해 광주 AI 생태계 조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또 전문인력 양성 등 광주지역 신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주요 협약 내용은 △광주 AI 전문 분야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 기술·정책 자문 등 수행 △AI 전문분야 인재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광주법인 또는 지역사무소 설립 △AI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AI 분야 전문인력 교육 및 취업 프로그램 기획·추진 등이다.
기업 대표들은 “광주는 AI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우수한 AI 기반시설과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특히 전국 어느 지자체보다 효과적인 실증사업이 가능해 기업성장의 큰 기회를 얻을 수 있어 광주를 택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첨단 기술을 보유한 AI 기업들이 광주로 향하면서 광주 미래 먹거리 창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특히 광주사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 기업들의 이전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빛그린국가산단 68만6797㎡(20만7000평)와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52만3560㎡(15만8000평)이 산업통상자원부의 ‘기회발전특구’로 신규 지정됐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한 지역 주도의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특별구역이다. 지역 산업을 중심으로 한 혁신 클러스터와 앵커기업이 협력해 지역경제의 자립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기회발전특구에는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가 제공되며, 기업 유치, 첨단 인프라 구축 등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지방 주도의 특구 개발을 통해 개인과 기업의 지역 이전을 촉진하고, 민간자본을 활용한 균형발전을 꾀한다.
광주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따라 빛그린국가산단을 모빌리티분야 특구로, 첨단3지구를 AI분야 특구로 각각 키운다. 특히 앵커기업인 ㈜DH오토웨어 등 기업들을 유치해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키로 하고 각종 혜택을 앞세워 기업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기회발전특구 지정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이전 기업의 이탈도 가시화되고 있다. 광주시가 지난해까지 유치한 AI 기업 중 11개사가 철수했고 2개사는 폐업했다. 이 중에는 솔트룩스 광주지사나 나무기술의 자회사 나무인텔리전스 등 굵직한 기업들도 포함됐다.
광주에 이전한 기업들은 “지금이야 말로 기존 기업에 대한 지원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기업들이 떠나는 이유는 ‘생각했던 것보다 지원이 부족하다’, ‘지원 조건이 까다롭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광주시는 업무협약을 체결한 유치기업에 최대 3억 50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기본요건이 투자금액 1억원 이상에 상시 고용인원 5명 이상이어야 한다. 스타트업 기업 입장에서는 충족시키기 쉽지 않은 조건이다. 투자금액은 그렇다 치더라도 상시 고용인원이 어려운 대목이다. AI 관련 인재를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광주는 AI 인재양성을 위해 인공지능사관학교에서 매년 200~300명의 수료자를 배출하고 있지만 기업들이 원하는 ‘즉시 전력감’은 아니다. 직원을 교육 시킬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중견급 회사는 문제가 없지만, 이제 막 출발하는 기업들은 초보 인재보다는 중간급 인재를 확보하길 원한다.
광주를 떠난 한 기업 대표는 “서울에서는 그나마 인력을 수급할 수 있는데, 지방으로 가라고 하면 퇴사해버린다”면서 “광주에서 채용하고 싶어도 초급 개발자들 위주여서 어렵다”고 답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일부 기업들이 폐쇄한 것은 알고 있지만 기업 사정에 따라 일시적으로 문을 닫은 것”이라며 “2025년 예산에 AI기업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 만큼, 유치 기업에 대한 관리에도 많은 신경을 쓰겠다”고 밝혔다.
최근 광주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 △10년에 걸쳐 법인세 50~100% 감면 △기업 상속 공제대상 확대 등의 혜택을 적극 홍보해 타 지역 기업의 광주 이전을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기업 유치뿐 아니라 기존 이전기업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다”며 광주시의 지원 확대를 호소하고 있다.
광주시는 12일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그린에이아이, ㈜뉴럴디, ㈜마이렌, ㈜모아이, ㈜제이지파워넷, 카투㈜, 코코넛사일로㈜, 텐에이젼트㈜, ㈜티엠씨솔루션즈, ㈜헤리티지아이티 등 AI 유망기업 10개사와 235~244번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기업은 법인 또는 지역사무소 설립을 통해 AI 전문분야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추진해 광주 AI 생태계 조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또 전문인력 양성 등 광주지역 신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주요 협약 내용은 △광주 AI 전문 분야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 기술·정책 자문 등 수행 △AI 전문분야 인재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광주법인 또는 지역사무소 설립 △AI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AI 분야 전문인력 교육 및 취업 프로그램 기획·추진 등이다.
기업 대표들은 “광주는 AI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우수한 AI 기반시설과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특히 전국 어느 지자체보다 효과적인 실증사업이 가능해 기업성장의 큰 기회를 얻을 수 있어 광주를 택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첨단 기술을 보유한 AI 기업들이 광주로 향하면서 광주 미래 먹거리 창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특히 광주사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 기업들의 이전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빛그린국가산단 68만6797㎡(20만7000평)와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52만3560㎡(15만8000평)이 산업통상자원부의 ‘기회발전특구’로 신규 지정됐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한 지역 주도의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특별구역이다. 지역 산업을 중심으로 한 혁신 클러스터와 앵커기업이 협력해 지역경제의 자립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기회발전특구에는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가 제공되며, 기업 유치, 첨단 인프라 구축 등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지방 주도의 특구 개발을 통해 개인과 기업의 지역 이전을 촉진하고, 민간자본을 활용한 균형발전을 꾀한다.
광주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따라 빛그린국가산단을 모빌리티분야 특구로, 첨단3지구를 AI분야 특구로 각각 키운다. 특히 앵커기업인 ㈜DH오토웨어 등 기업들을 유치해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키로 하고 각종 혜택을 앞세워 기업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기회발전특구 지정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이전 기업의 이탈도 가시화되고 있다. 광주시가 지난해까지 유치한 AI 기업 중 11개사가 철수했고 2개사는 폐업했다. 이 중에는 솔트룩스 광주지사나 나무기술의 자회사 나무인텔리전스 등 굵직한 기업들도 포함됐다.
광주에 이전한 기업들은 “지금이야 말로 기존 기업에 대한 지원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기업들이 떠나는 이유는 ‘생각했던 것보다 지원이 부족하다’, ‘지원 조건이 까다롭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광주시는 업무협약을 체결한 유치기업에 최대 3억 50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기본요건이 투자금액 1억원 이상에 상시 고용인원 5명 이상이어야 한다. 스타트업 기업 입장에서는 충족시키기 쉽지 않은 조건이다. 투자금액은 그렇다 치더라도 상시 고용인원이 어려운 대목이다. AI 관련 인재를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광주는 AI 인재양성을 위해 인공지능사관학교에서 매년 200~300명의 수료자를 배출하고 있지만 기업들이 원하는 ‘즉시 전력감’은 아니다. 직원을 교육 시킬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중견급 회사는 문제가 없지만, 이제 막 출발하는 기업들은 초보 인재보다는 중간급 인재를 확보하길 원한다.
광주를 떠난 한 기업 대표는 “서울에서는 그나마 인력을 수급할 수 있는데, 지방으로 가라고 하면 퇴사해버린다”면서 “광주에서 채용하고 싶어도 초급 개발자들 위주여서 어렵다”고 답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일부 기업들이 폐쇄한 것은 알고 있지만 기업 사정에 따라 일시적으로 문을 닫은 것”이라며 “2025년 예산에 AI기업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 만큼, 유치 기업에 대한 관리에도 많은 신경을 쓰겠다”고 밝혔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