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사흘째 청문회 격돌...이진숙 청문 거센 공방
與 “여성 국립대총장 대단해”
野 “논문표절 의혹·자격 미달”
정성호 청문선 검찰개혁 설전
김영훈 ‘방북 이력’ 놓고 충돌
입력 : 2025. 07. 16(수) 15:33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등 논란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이재명 정부의 초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 슈퍼위크 사흘째인 16일에도 각종 의혹과 도덕성, 자질 등을 둘러싸고 격돌했다.

국민의힘은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등이 제기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이 후보자의 능력이나 정책 검증이 아닌 인신공격과 ‘카더라식 의혹’ 캐묻기에만 집중한다며 반발했다.

여야는 법무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등 3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진행된 이날 시작부터 증인 채택과 자료 제출 문제로 설전을 벌였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교육위 인사청문회에서는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자녀 조기 유학 문제 등을 놓고 정면 충돌했다.

국민의힘은 이 후보자의 도덕성 등을 문제 삼으면서 공교육 책임자로는 부적합하다고 몰아세웠다.

서지영 의원은 이 후보자 자녀가 졸업한 미국 사립고교·대학교 학비가 총 10억여원에 달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후보자 외에 그 어느 누가 이런 교육을 자녀에게 제공할 수 있겠느냐. 후보자는 공교육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김민전 의원은 논문 표절 의혹을 추궁했다.

그는 “(제자 논문에) 본인이 1저자를 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고 연구 윤리에 맞지 않다”며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을 저격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 의원들은 이 후보자가 관련 의혹 등을 소명할 시간을 주면서 교육 정책 방향과 교육관을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김문수 의원은 “여성으로서 국립대 총장까지 하고 두 자녀를 키우며 여기까지 온 것은 대단하다. 너무 앞만 보고 달려가다 보면 주변을 잘 못 챙길 수 있다”며 후보자를 격려했다.

이 후보자는 김 의원이 각종 논란과 관련해 허리 숙여 사과할 의향이 있는지 묻자 “실수가 있었던 점에 국민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자리에서 일어나 90도로 허리를 숙였다.

그러면서 교수 시절 작성한 다수 논문에 표절 논란이 제기된 데 대해, “지금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며 표절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의 논문들을 저도 한번 카피킬러로 돌려봤다. 어떻게 저런 표절률이 나올 수 있는지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었다.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간다. 그래서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듯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는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면서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수행된다. 그것을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 (논문) 발표 순서”라고 말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12·3 불법 계엄 사태와 검찰개혁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전으로 비화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을 겨냥해 불법 계엄 사태와 내란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몰아붙이면서 정 후보자의 장관 임명 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한 야권 관계자들을 신속히 처벌해야 한다고 공세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검찰개혁이 검찰의 보완 수사권을 박탈함으로써 서민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범여권이 추진하는 각종 입법이 이재명 대통령 관련 사건의 공소 취소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김 후보자의 방북 이력 등 두고 여야가 거세게 충돌했다.

국민의힘이 김 후보자를 상대로 ‘북한이 주적인가’라는 질문 등으로 대북관을 집중 추궁하자, 민주당은 노동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성격과 맞지 않는 색깔론 공세라고 반발했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
국회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