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농식품 바우처 효과 극대화 정책 마련해야
식생활 교육과 지역 먹거리 연계
온라인 사용처·이동 서비스 확대
지역 경제 파급효과 극대화 모색
입력 : 2025. 04. 21(월) 16:57
농식품 바우처 지원사업이 지난 3월부터 전국으로 확대 시행됨에 따라, 전남도가 지역 주민의 식품 접근성 개선과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17일 발간한 JNI 이슈리포트 ‘농식품 바우처 지원제도 시행에 따른 전라남도의 대응 방향’에서 해당 제도의 기대효과를 분석하고, 전남형 대응 전략을 제안했다.

농식품 바우처 제도는 생계급여 수급가구 중 임산부 및 18세 이하 자녀가 포함된 가구를 대상으로, 국산 신선 농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일정 금액의 바우처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올해부터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전남에서도 바우처 카드를 통해 온오프라인 지정매장에서 과일, 채소, 흰우유, 계란, 육류, 잡곡류, 두부류 등 품목을 구매할 수 있다.

실제 해당 제도는 시범사업에서 영양 개선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바우처 지급 이후 철분, 단백질, 비타민B군 섭취율이 5~6% 향상되며 전체 영양섭취율이 평균 4.4% 개선됐다.

또한 국산 농축산물 소비 확대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기대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바우처 제도를 통해 전국적으로 약 886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97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전남은 이 중 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31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기대된다.

전남연구원은 이러한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농협몰 등 온라인 사용처 홍보를 강화하고, 바우처 무료 배송 최소 결제금액을 완화해 이용자 편의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오프라인 접근성이 떨어지는 농촌지역에는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등 이동형 식품서비스와 연계해 직접 방문 판매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바우처 대상 품목을 3종 이상 갖춘 이동장터를 운영함으로써 실질적인 먹거리 접근성을 개선하고, 지역 농산물 소비를 연계한 푸드플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용지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농식품 바우처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사용처 다양화와 더불어 지역 식생활 교육, 로컬푸드 연계 정책 등과 통합 운영이 필요하다”며 “전남도는 정부의 온라인 영양교육 콘텐츠 활용과 함께 자율적인 영양상담 프로그램을 병행해 도민 건강 증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전남도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