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132-2>소상공인 위한 소비 촉진·특례보증 확대 ‘성과’
광주시-기관, 경제 살리기 ‘원팀’
市·은행, 저금리 대출·이자 지원
상생카드 할인율 확대·할인쿠폰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등 확대
지역 정치권, 추경예산 신속 추진
市·은행, 저금리 대출·이자 지원
상생카드 할인율 확대·할인쿠폰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등 확대
지역 정치권, 추경예산 신속 추진
입력 : 2025. 02. 23(일) 18:30

지난 1월23일 광주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소비·착한금융·착한일자리) 광주’ 결의대회에 참석한 경제단체, 산업계 등 76개 기관, 단체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지난 1월23일 광주시와 경제·산업 분야 76개 지역 기관·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연초부터 지역 경제 관련 기관들이 총출동한 것은 다름아닌 민생때문이었다. 광주지역 경제를 살리고자 지역의 주요 기관들이 ‘원팀’으로 뭉친 것이다.
지난해 12월 갑작스러운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으로 정부의 정상적인 시스템 가동이 중단됐고, 제주항공기 참사가 발생하면서 그나마 기대했던 연말 특수에 찬물을 끼얹었다. 안팎으로 움츠러든 소비 심리에 자영업자는 빚더미에 올랐다.
1월 당시 모인 76개 기관·경제·산업계 종사자 등은 소비는 늘리고, 부담은 줄이고, 투자는 키우는 경제대책을 공동추진하는 ‘2025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소비·착한금융·착한일자리) 광주 결의대회를 열었다.
또 광주시와 광주신용보증재단·광주은행·KB국민은행·NH농협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카카오뱅크 등 금융기관 8곳은 ‘소상공인 특례보증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소상공인 특례보증을 통해 역대 최대 규모인 1700억원의 예산을 투입, 경기침체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광주시와 은행들이 광주신용보증재단에 예산을 출연해 저금리 대출 및 이자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여기에 광주시는 광주상생카드 10% 특별할인을 연장하고 공공배달앱 할인쿠폰 확대, 지방재정 신속집행 등 다양한 소비촉진 정책도 추진했다.
결의대회 이후 한달이 지난 지금 광주시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먼저 경제정책과에서 주도한 ‘소비 촉진 릴레이 캠페인’의 경우 시·자치구·공공기관·유관기관 등 24개기관이 참여했다. 캠페인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앞장서 소상공인 식당을 이용하고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는 것은 물론 각종 간담회 등 오찬·만찬도 이들 식당을 적극 이용했다. 이 캠페인은 2월까지 총 24회 실시됐으며 이 기간동안 소상공인 업장을 이용한 사람은 1264명으로 집계됐다.
상생카드 할인 확대도 추진됐다. 할인율을 상시 7%에서 1~2월 10%까지 확대한 결과 1월 상생카드 사용액은 1006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대비 144%가 상승해 소상공인 매출증대에 기여했다.
또 소상공인 특례보증 자금 및 이자지원의 경우 보증규모 1500억원에서 1700억원으로 확대해 상반기에 1000억원을 지원했다. 특히 지난해 제주항공 참사로 큰 타격을 입은 관광사업자들에게 50억원을 우선 공급했다. 협약기관은 광주신용보증재단, 은행 7개 기관(광주, 국민, 농협, 신한, 하나, 우리, 카카오)이며 이자 지원의 경우 1년간 3~4%(일반 3%, 중저신용자 4%)였다.
대출의 경우 2월부터 각 은행별로 실시 중이며 구체적인 규모는 상반기가 지나야 파악될 것으로 보이지만, 많은 소상공인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3종’의 중소기업 자금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먼저 경영안정자금의 경우 2700억원 중 상반기에 19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출진흥자금과 구조고도화자금 지원 규모는 각각 30억원이다. 이밖에도 정부 추경이 편성되면 자금 증액 지원을 요청하겠다는 것이 광주시의 입장이다.
주요 기관뿐만 아니라 지역 정치권도 민생 살리기에 적극 나섰다.
지난달 열린 ‘2025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 직후 광주 지역의원들은 환영의 뜻을 밝히며,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 추진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도걸(동남구을) 의원은 “코로나19·비상계엄·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지역경제가 큰 어려움에 닥쳤다. 의원들도 지자체와 함께 머리를 맞댈 것”이라며 “현재 당에서 민간 소비 촉진, 산업 경쟁력 강화,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추경안을 마련하고 있다. 세부 내용에는 지역 관광업계 및 소상공인 지원, AI 클러스터 2단계 사업, 지역 SOC 확충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주 뿐만 아니라 여수 석유화학단지의 매출 급감·대규모 고용 위기도 지역의 큰 문제다. 중국의 공세로 업체들 모두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구조조정을 위한 연구개발(R&D) 및 설비 투자 자금을 지원하자는 취지로 예산을 선반영했고, 여수 등을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의원들 모두 ‘광주 뿐만 아니라 호남 전역’을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다. 예산이 신속히 투입돼 광주·전남의 경제가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광주시 관계자는 “한달 밖에 지나지 않아, 가시적인 성과들이 두드러지지는 않고 있지만, 상생카드라던가, 소비촉진 캠페인, 소상공인 지원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광주시는 정부의 조속한 추경 집행을 촉구해 하루 빨리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병하·정성현 기자
지난해 12월 갑작스러운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으로 정부의 정상적인 시스템 가동이 중단됐고, 제주항공기 참사가 발생하면서 그나마 기대했던 연말 특수에 찬물을 끼얹었다. 안팎으로 움츠러든 소비 심리에 자영업자는 빚더미에 올랐다.
1월 당시 모인 76개 기관·경제·산업계 종사자 등은 소비는 늘리고, 부담은 줄이고, 투자는 키우는 경제대책을 공동추진하는 ‘2025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소비·착한금융·착한일자리) 광주 결의대회를 열었다.
또 광주시와 광주신용보증재단·광주은행·KB국민은행·NH농협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카카오뱅크 등 금융기관 8곳은 ‘소상공인 특례보증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소상공인 특례보증을 통해 역대 최대 규모인 1700억원의 예산을 투입, 경기침체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광주시와 은행들이 광주신용보증재단에 예산을 출연해 저금리 대출 및 이자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여기에 광주시는 광주상생카드 10% 특별할인을 연장하고 공공배달앱 할인쿠폰 확대, 지방재정 신속집행 등 다양한 소비촉진 정책도 추진했다.
결의대회 이후 한달이 지난 지금 광주시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먼저 경제정책과에서 주도한 ‘소비 촉진 릴레이 캠페인’의 경우 시·자치구·공공기관·유관기관 등 24개기관이 참여했다. 캠페인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앞장서 소상공인 식당을 이용하고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는 것은 물론 각종 간담회 등 오찬·만찬도 이들 식당을 적극 이용했다. 이 캠페인은 2월까지 총 24회 실시됐으며 이 기간동안 소상공인 업장을 이용한 사람은 1264명으로 집계됐다.
상생카드 할인 확대도 추진됐다. 할인율을 상시 7%에서 1~2월 10%까지 확대한 결과 1월 상생카드 사용액은 1006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대비 144%가 상승해 소상공인 매출증대에 기여했다.
또 소상공인 특례보증 자금 및 이자지원의 경우 보증규모 1500억원에서 1700억원으로 확대해 상반기에 1000억원을 지원했다. 특히 지난해 제주항공 참사로 큰 타격을 입은 관광사업자들에게 50억원을 우선 공급했다. 협약기관은 광주신용보증재단, 은행 7개 기관(광주, 국민, 농협, 신한, 하나, 우리, 카카오)이며 이자 지원의 경우 1년간 3~4%(일반 3%, 중저신용자 4%)였다.
대출의 경우 2월부터 각 은행별로 실시 중이며 구체적인 규모는 상반기가 지나야 파악될 것으로 보이지만, 많은 소상공인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3종’의 중소기업 자금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먼저 경영안정자금의 경우 2700억원 중 상반기에 19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출진흥자금과 구조고도화자금 지원 규모는 각각 30억원이다. 이밖에도 정부 추경이 편성되면 자금 증액 지원을 요청하겠다는 것이 광주시의 입장이다.
주요 기관뿐만 아니라 지역 정치권도 민생 살리기에 적극 나섰다.
지난달 열린 ‘2025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 직후 광주 지역의원들은 환영의 뜻을 밝히며,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 추진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도걸(동남구을) 의원은 “코로나19·비상계엄·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지역경제가 큰 어려움에 닥쳤다. 의원들도 지자체와 함께 머리를 맞댈 것”이라며 “현재 당에서 민간 소비 촉진, 산업 경쟁력 강화,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추경안을 마련하고 있다. 세부 내용에는 지역 관광업계 및 소상공인 지원, AI 클러스터 2단계 사업, 지역 SOC 확충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주 뿐만 아니라 여수 석유화학단지의 매출 급감·대규모 고용 위기도 지역의 큰 문제다. 중국의 공세로 업체들 모두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구조조정을 위한 연구개발(R&D) 및 설비 투자 자금을 지원하자는 취지로 예산을 선반영했고, 여수 등을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의원들 모두 ‘광주 뿐만 아니라 호남 전역’을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다. 예산이 신속히 투입돼 광주·전남의 경제가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광주시 관계자는 “한달 밖에 지나지 않아, 가시적인 성과들이 두드러지지는 않고 있지만, 상생카드라던가, 소비촉진 캠페인, 소상공인 지원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광주시는 정부의 조속한 추경 집행을 촉구해 하루 빨리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