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주 재외동포를 포용하기 위해 재외동포법 개정은 물론 이들을 전담할 전문 기구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7일 광주고려인마을에 따르면 지난 11일 서울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재외동포 정책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하고 방향을 모색하는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광주고려인마을을 비롯한 재외동포 관련 단체, 연구기관 등이 주최하고 금태섭·김경협 국회의원, 코리안드림네트워크, 동북아평화연대 주관으로 열린 이번 정책토론회는 '재외동포 정책의 새로운 미래를 말하다'는 주제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이날 토론회는 특히 국내 거주 중국동포, 고려인 등을 포함한 재외동포 인구가 100만명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출입국 법적지위와 체류활동 범위를 규정한 재외동포법 개정 문제가 중점으로 다뤄졌다.
정용화 코리안드림네트워크 이사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회는 임채완 재외동포연구원 원장의 '포용적 재외동포 혁신정책'이라는 기조강연에 이어 각 동포지원단체 활동가들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김용선 중국동포한마음협회 회장의 '국내 거주 100만 동포 시대-한국과 중국동포, 상호인식전환과 비전이 필요하다', 최병용 동북아평화연대 기획국장 '국내 거주 고려인 실태조사 결과', 김용필 동포세계신문 대표 '국내 거주 재외동포의 법적지위 무엇이 문제인가?', 김승력 안산 고려인센터 미르 센터장 '국내 거주 재외동포 지원체계 변화가 필요하다' 등이다.
이어 재외동포 관련 정부 관계자와 동포사회 연구·지원 활동가들의 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한국과 북한의 동포정책 비교, 중국과 대만의 적극적인 화교포용정책, 이스라엘과 독일의 동포귀환법 도입 등 외국사례를 통해 우리의 재외동포 정책의 현주소와 나아갈 방향을 심도있게 고민했다.
또한 '포용'을 정책기조로 내세운 현 정부가 재외동포법을 획기적으로 개정해 전면 시행하는 것이 향후 국력신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일괄적인 동포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임채완 재외동포연구원 원장은 "동포문제는 재외동포법 개정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며 "동포전담 기구를 두고 혁신적인 동포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nomad@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