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제주권 '초광역 분산에너지 플랫폼' 본격화
산업부 ‘메가시티 육성사업’ 선정
광주·전남·전북·제주 협력사업 착수
89억 투입 '전력계통 안정화' 개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도 탄력
“에너지 기술혁신 거점 도약 기대”
광주·전남·전북·제주 협력사업 착수
89억 투입 '전력계통 안정화' 개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도 탄력
“에너지 기술혁신 거점 도약 기대”
입력 : 2025. 04. 17(목) 17:54

광주시와 전남도가 전북도,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초광역 분산에너지 특화모델’ 구축에 시동을 걸었다. 이번 협력 사업을 통해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추진 동력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17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4개 시·도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5년 메가시티협력 첨단산업 육성지원(R&D)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4개 시·도는 ‘분산에너지시스템 기반의 전력계통 안정화 기술개발 및 실증 공모사업’에 착수한다. 이번 초광역 협력사업은 ‘분산에너지 기반으로 전력계통을 효율적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연구개발이 골자다.
특히 이번 사업은 지난해 체결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의 에너지 분야 협력과제를 구체화한 실행사업으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와 전력 계통의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기술 기반 구축이 목표다.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급속한 확산으로 태양광·풍력의 간헐성과 전압·주파수 변동성이 심화되면서 기존 전력망이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출력 제한과 계통 불안정 문제가 꾸준히 대두돼 왔다.
특히 전남과 제주 등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전력 생산량은 크게 늘었지만 송전망 부족과 수요지와의 거리 등으로 인해 출력 손실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번 R&D 사업은 ‘분산에너지 기반 전력계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각 지역의 기술적 강점을 활용한 기능별 역할을 분담했다.
광주시는 단주기 ESS(에너지저장장치) 운영기술 개발을 통해 태양광 등 일시적 공급 변동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구축에 나선다.
전남도는 실시간 계통 대응이 가능한 분산에너지 관리시스템(DERMS)을 설계·운영해 전체 플랫폼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수초 단위 응답이 가능한 초단주기 ESS 기술을 개발해 계통 안정성을 정밀 제어하고, 제주는 열·수소·전기 등 이종 에너지원의 통합 관리가 가능한 ‘섹터 커플링’ 기반 기술을 개발해 지역 에너지 자원의 다변화에 대응한다.
이달부터 본격 추진되는 이번 공동 연구개발에는 2년간 총 89억원(국비 46억원, 지방비 20억원, 민간 2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사업 수행기관은 광주·전남·전북·제주 각 지역산업진흥원을 중심으로, 지역별 산학연 혁신기관과 기술 특화기업 총 12개 기관이 참여한다.
전남에서는 바이텍정보통신, 아이티맨, 티이에프, 전북에서는 비나텍, 어포스텍, 전북대, 광주에서는 인셀, 그리다에너지, 한국전자기술연구원(광주분원), 제주에서는 에코브레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제주분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이번 플랫폼 개발이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지역 분산형 에너지 자원을 효과적으로 통합·운영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지역의 전력자립은 물론, 전국적 계통 불안정 문제 해결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각 지역별 특화된 에너지 시스템을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재생에너지 확산과 탄소중립 정책의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태조 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이번 R&D 사업은 단기적 성과를 넘어, 광주를 포함한 호남권이 에너지 자립과 미래 전력 체계 전환을 이끄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과 연계 산업 육성에도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 또한 “이번 메가시티 협력사업 선정을 통해 전남을 비롯한 호남과 제주가 분산에너지 분야의 기술혁신 거점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향후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를 위한 초광역 협력사업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지역 기반의 에너지 생태계 구축은 계통 운영 안정성과 탄소중립 달성 뿐만 아니라 국가균형발전까지 모색할 수 있는 핵심 과제”라며 “지방정부와 민간, 연구기관이 함께하는 이번 플랫폼 개발을 통한 지역 에너지 주권 강화로 에너지 다소비기업 이전 및 지역 발전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오지현·정상아 기자
17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4개 시·도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5년 메가시티협력 첨단산업 육성지원(R&D)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4개 시·도는 ‘분산에너지시스템 기반의 전력계통 안정화 기술개발 및 실증 공모사업’에 착수한다. 이번 초광역 협력사업은 ‘분산에너지 기반으로 전력계통을 효율적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연구개발이 골자다.
특히 이번 사업은 지난해 체결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의 에너지 분야 협력과제를 구체화한 실행사업으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와 전력 계통의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기술 기반 구축이 목표다.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급속한 확산으로 태양광·풍력의 간헐성과 전압·주파수 변동성이 심화되면서 기존 전력망이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출력 제한과 계통 불안정 문제가 꾸준히 대두돼 왔다.
특히 전남과 제주 등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전력 생산량은 크게 늘었지만 송전망 부족과 수요지와의 거리 등으로 인해 출력 손실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번 R&D 사업은 ‘분산에너지 기반 전력계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각 지역의 기술적 강점을 활용한 기능별 역할을 분담했다.
광주시는 단주기 ESS(에너지저장장치) 운영기술 개발을 통해 태양광 등 일시적 공급 변동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구축에 나선다.
전남도는 실시간 계통 대응이 가능한 분산에너지 관리시스템(DERMS)을 설계·운영해 전체 플랫폼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수초 단위 응답이 가능한 초단주기 ESS 기술을 개발해 계통 안정성을 정밀 제어하고, 제주는 열·수소·전기 등 이종 에너지원의 통합 관리가 가능한 ‘섹터 커플링’ 기반 기술을 개발해 지역 에너지 자원의 다변화에 대응한다.
이달부터 본격 추진되는 이번 공동 연구개발에는 2년간 총 89억원(국비 46억원, 지방비 20억원, 민간 2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사업 수행기관은 광주·전남·전북·제주 각 지역산업진흥원을 중심으로, 지역별 산학연 혁신기관과 기술 특화기업 총 12개 기관이 참여한다.
전남에서는 바이텍정보통신, 아이티맨, 티이에프, 전북에서는 비나텍, 어포스텍, 전북대, 광주에서는 인셀, 그리다에너지, 한국전자기술연구원(광주분원), 제주에서는 에코브레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제주분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이번 플랫폼 개발이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지역 분산형 에너지 자원을 효과적으로 통합·운영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지역의 전력자립은 물론, 전국적 계통 불안정 문제 해결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각 지역별 특화된 에너지 시스템을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재생에너지 확산과 탄소중립 정책의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태조 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이번 R&D 사업은 단기적 성과를 넘어, 광주를 포함한 호남권이 에너지 자립과 미래 전력 체계 전환을 이끄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과 연계 산업 육성에도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 또한 “이번 메가시티 협력사업 선정을 통해 전남을 비롯한 호남과 제주가 분산에너지 분야의 기술혁신 거점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향후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를 위한 초광역 협력사업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지역 기반의 에너지 생태계 구축은 계통 운영 안정성과 탄소중립 달성 뿐만 아니라 국가균형발전까지 모색할 수 있는 핵심 과제”라며 “지방정부와 민간, 연구기관이 함께하는 이번 플랫폼 개발을 통한 지역 에너지 주권 강화로 에너지 다소비기업 이전 및 지역 발전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