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 "문학, 생명 파괴 모든 행위 반대"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입력 : 2024. 12. 11(수) 09:32
Nobel laureate in literature Han Kang holds her award during the Nobel Prize ceremony in Stockholm, Sweden, Tuesday, Dec. 10, 2024. (Jonas Ekstroemer/TT News Agency via AP)
소설가 한강이 한국인 최초, 아시아 여성 작가로는 처음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강은 10일(현지시각)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제124회 노벨상 시상식에서 검은색 원피스를 입고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 경제학상 수상자 10명과 블루카펫을 밟으며 입장했다.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에 이어 네 번째로 호명된 한강은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메달과 증서를 수여 받았다.
한강은 역대 121번째 이자 여성으로는 18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아시아인이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은 지난 2012년 중국 소설가 모옌 이후 12년 만이다.
시상에 앞서 한강을 소개한 엘렌 맛손 스웨덴 한림원 종신위원은 한강의 작품이 죽음과 슬픔을 상징하는 흰색과 삶과 고통을 상징하는 빨간색이 만나는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또 “한강의 목소리는 매혹적으로 부드럽지만, 형언할 수 없는 잔혹함과 돌이킬 수 없는 상실감에 대해 말하고 있다”며 “흰색과 빨간색은 한강이 작품 속에서 되짚는 역사적 경험을 상징한다”고 했다.
시상식 후 이어진 노벨상 수상자 만찬에서 한강은 “문학을 읽고 쓰는 작업은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우리를 서로 연결해 주는 언어, 이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품게 된다”며 영어로 말했다.
그는 “여덟 살 때 오후 수업을 마치고 돌아오던 중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 다른 아이들과 건물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던 일을 기억한다”며 “길 건너편에는 비슷한 건물의 처마 아래에 비를 피하는 사람들이 보여 마치 거울을 들여다보는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내리는 비를 바라보고 그 비에 팔과 다리가 젖는 것을 느끼면서 그 순간 저는 갑자기 이해하게 됐다”며 “저와 나란히 비를 피하는 사람들과 길 건너편에서 비를 피하는 모든 사람이 저마다 ‘나’로서 살고 있었다. 이는 경이로운 순간이었고 수많은 1인칭 시점을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읽고 쓰는 데 보낸 시간을 되돌아보면서 저는 이 경이로운 순간을 반복해서 경험했다”며 “언어의 ‘실’을 따라 또 다른 마음 깊은 곳으로, 다른 내면과의 만남,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질문을 그 ‘실’에 맡기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난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 ‘ 등은 수천 년 동안 문학에서 제기돼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가 이 세상에 잠시 머무르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 우리가 인간으로 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가장 어두운 밤에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묻는 언어가 있다. 문학상이라는 상의 의미를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다”며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강은 10일(현지시각)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제124회 노벨상 시상식에서 검은색 원피스를 입고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 경제학상 수상자 10명과 블루카펫을 밟으며 입장했다.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에 이어 네 번째로 호명된 한강은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메달과 증서를 수여 받았다.
한강은 역대 121번째 이자 여성으로는 18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아시아인이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은 지난 2012년 중국 소설가 모옌 이후 12년 만이다.
시상에 앞서 한강을 소개한 엘렌 맛손 스웨덴 한림원 종신위원은 한강의 작품이 죽음과 슬픔을 상징하는 흰색과 삶과 고통을 상징하는 빨간색이 만나는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또 “한강의 목소리는 매혹적으로 부드럽지만, 형언할 수 없는 잔혹함과 돌이킬 수 없는 상실감에 대해 말하고 있다”며 “흰색과 빨간색은 한강이 작품 속에서 되짚는 역사적 경험을 상징한다”고 했다.
시상식 후 이어진 노벨상 수상자 만찬에서 한강은 “문학을 읽고 쓰는 작업은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우리를 서로 연결해 주는 언어, 이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품게 된다”며 영어로 말했다.
그는 “여덟 살 때 오후 수업을 마치고 돌아오던 중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 다른 아이들과 건물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던 일을 기억한다”며 “길 건너편에는 비슷한 건물의 처마 아래에 비를 피하는 사람들이 보여 마치 거울을 들여다보는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내리는 비를 바라보고 그 비에 팔과 다리가 젖는 것을 느끼면서 그 순간 저는 갑자기 이해하게 됐다”며 “저와 나란히 비를 피하는 사람들과 길 건너편에서 비를 피하는 모든 사람이 저마다 ‘나’로서 살고 있었다. 이는 경이로운 순간이었고 수많은 1인칭 시점을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읽고 쓰는 데 보낸 시간을 되돌아보면서 저는 이 경이로운 순간을 반복해서 경험했다”며 “언어의 ‘실’을 따라 또 다른 마음 깊은 곳으로, 다른 내면과의 만남,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질문을 그 ‘실’에 맡기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난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 ‘ 등은 수천 년 동안 문학에서 제기돼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가 이 세상에 잠시 머무르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 우리가 인간으로 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가장 어두운 밤에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묻는 언어가 있다. 문학상이라는 상의 의미를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다”며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