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라의 현대미술 산책 15)추상미술
비가시적인 내면 형상화…감정을 정화하다 ||20세기 초 재현에서 추상으로 이행 과정 ||내적인 감정 표출로 위안과 숭고의 미적 경험
입력 : 2020. 11. 15(일) 14:26

바실리 칸딘스키, 'Swinging', 1925, 출처 테이트 갤러리 홈페이지

잃어버린 1년이라고 해야 할까. 연 초 시작된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한 해가 어느새 끝자락에 들어섰다. 마스크 없이 자유롭게 다니던 평범했던 일상이 그리워진다. 인간은 유약한 존재인지라 외부 환경에 갈대처럼 흔들리는 것은 부인할 여지가 없다. '코로나 블루'에 이어 '코로나 레드'라는 신조어가 공감이 간다. 이럴 때일수록 미술로 침체된 기분을 다독여보는 것은 어떨까.

인류 최초 작품인 알타미라 동굴 벽화 이래로 예술은 사회적 요구에 반응하면서 변화해왔다. 구석기에는 사냥의 성공을 위한 주술과 염원이었고 중세에는 교리를 전하는 수단 이었듯, 시대의 파고 속에서 예술은 옷을 갈아입었다. 그리고 현대에 와서는 감성과 소통을 위한 역할로 확장되었다.

현대미술이 태동한 19세기 말 과학의 발전으로 미술가들은 신이 창조한 자연보다 인간 중심의 내적인 세계와 정신성에 몰두하게 된다. 인상주의 이후 사조의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는 기저에는 존재와 근원에 대한 탐구가 자리했다. 사진기로 인해 더 이상 묘사의 의미가 없어진 것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즉 20세기 미술은 대상을 정확히 묘사해야한다는 전통적인 회화 규칙에서 형태와 색채를 해방시키는 '추상'으로의 이행 과정이었다. '재현'에서 '표현'으로 미술의 대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캔버스 안에서는 비가시적인 내적 감성과 감정 등이 용광로처럼 분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상을 향한 여정은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가 닻을 올렸다. 칸딘스키는 식별 가능한 사실적인 형체를 버리고 순수 추상화의 세계를 개척해 '추상미술의 창시자'로 불리 운다. '추상'이라는 용어는 독일 미술사가 빌헬름 보링거(Wilhelm Worringer)가 1908년 저술한 '추상과 감정이입' 이후 사용되었다. 모든 예술 활동은 근원적으로 행복을 지향하며, 감정이입을 추구한다고 보았다. 보링거에게 영향을 받은 칸딘스키는 '예술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라는 저서에서 추상미술의 발전을 위해 정신성의 고찰과 내적 감정의 필요성을 언급한다. 그래서 인지 칸딘스키의 작품은 음악처럼 보이지 않는 정신이 응축되어 화면을 지배한다.

내면이 정점으로 투영된 사조로는 1950년대 미국의 추상표현주의를 들 수 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미술의 주도권은 파리에서 뉴욕으로 재편되었다. 많은 예술가들이 전쟁을 피해 모이면서 현대미술의 새로운 열기가 넘쳐났다. 이러한 미국의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린 역동성의 발현이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액션 페인팅'이라면,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안으로의 침잠은 '색면 회화'라 할 수 있다.

색면 회화의 거장 마크 로스코(Mark Rothko)는 감정의 형태를 없애고 색채로 형상화했다. 평면적이면서도 깊고 무한한 그의 회화는 단절되고 삭막해지는 현대인에게 위안과 감흥을 건넨다. 근원에 대한 사유가 담긴 그의 작품 앞에 서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가 주창한 예술적 감동 즉 '카타르시스'가 생성된다. 인간성의 고양과 정화가 샘솟는 순간이다.

마크 로스코와 함께 색면 회화의 대가 바넷 뉴먼(Barnett Newman)은 거대한 색 면에 수직선으로 독자적인 작업 세계를 일궜다. 뉴먼은 분할 선을 '지퍼'라 명명했다. 존재의 모든 것을 함축한 듯한 광활한 색 면을 가로지르는 '지퍼'는 극적인 효과를 자아낸다. 뉴먼은 관람자들이 명상하면서 서서히 차오르는 감정의 충만함을 체험하길 원했다.

급속한 성장 시기였던 20세기 산업사회에서 추상미술의 도래는 필연적이었다. 불안한 개별자들이 내면을 탐구하던 갈망들이 축적되어 '추상'으로 기록되었다. 그 안에는 삶의 삼라만상이 펼쳐진다. 정서적 교감과 위로들이 때론 명랑하게 때론 절제되어 상호작용한다.

위태로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치유와 회복의 순간이 여느 때보다 필요할 것이다.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말한 지각과 정서, 감각의 집적들로 구성된 기념비인 예술로 세파에 쌓인 불순물을 정화하는 시간 말이다. 예술이라는 매개로 일상을 오롯이 버터내고, 내면을 순화하려는 태도가 절실한 시점이다.

마크 로스코, '검정 위에 밝은 빨강', 1957, 출처 테이트 갤러리 홈페이지

바넷 뉴먼, '아담', 1951-1952, 출처 테이트 갤러리 홈페이지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

조사라의 현대미술 산책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