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과연 노잼도시일까? 광주를 둘러싼 이미지 비평
이미지와 함께 걷기
김서라 | 민음사 | 1만6000원
입력 : 2024. 09. 12(목) 16:50
광주 북구 임동 옛 전남방직·일신방직 공장. 책 『이미지와 함께 걷기』에서는 이 곳에 남아있는 여성 노동자들의 흔적 추적한다. 뉴시스
‘5·18의 도시’, ‘민주주의의 고장’ 그리고 ‘노잼 도시’이자 소멸 위험의 지방 도시. 우리에게 익숙한 광주의 이미지들이다. 광주는 매년 5월 정치인들이 찾는 곳이자 잊을 만하면 가짜 뉴스에 휘말리는 정치적인 도시다. 5·18민주화운동의 이미지는 여전히 강력하지만, 40년 전 항쟁의 이미지는 지금 젊은 세대의 고민과 잘 이어지지 않는다. 광주는 다른 지방 도시들처럼 ‘지방 소멸’ 담론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지만, 실제 광주에서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 않다.

광주에서 나고 자란 철학 연구자 김서라의 『이미지와 함께 걷기』는 광주를 둘러싼 이미지에 대한 비평이자, 광주에서 살며 쓰는 광주 이야기이다. 저자는 광주에 대한 익숙한 이미지들 사이에서 낯선 이미지들을 발견하고, 광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일상을 보여준다. 특히 수도권 중심 개발의 역사에서 지방 도시가 어떤 모양으로 바뀌며 어떻게 적응했는지, 그 변화 속에서 사람들의 삶이 어떻게 모양 지어졌는지를 보여준다. 도시의 기억을 담은 오래된 길과 건물들이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김서라는 길에서 마주치는 기억의 파편을 주우며 새로운 도시를 그려낸다.

책 1부 ‘전남의 이미지들’에는 광주와 전남을 재현한 이미지에 대한 비평이 실렸다. 김서라는 ‘순수한 고향’으로 전남을 기록하고자 했던 사진작가 강봉규의 작품을 비평하며 개발과 보존의 이분법을 벗어나고자 한다. 나아가 사북항쟁(강원도 정선 사북읍 일대에서 발생한 탄광 근로자들의 총파업 사건)이 벌어졌던 1980년 당시 광주에 ‘폭동’의 이미지로 전파됐던 사진보도를 비판하고 이를 덮어쓰는 새로운 이미지를 꺼내 놓는다.

광주에서 활동하는 미술작가 박화연은 직접 사북을 찾아가 관련자들의 증언을 듣고 사북의 모습을 영상으로 기록한다. 근대화 시기에 만들어진 광주와 전남의 이미지들은 여전히 수도권과 지방의 이분법을, ‘전라디언의 굴레’를 만들고 있다. 그 익숙한 이미지를 이탈하는 순간을 포착하는 글은 그 자체로 역사 다시 쓰기이자 정치적인 말하기다.

2부 ‘광주 2순환도로’와 3부 ‘방직공장의 가장자리’에서 이어지는 글들은 광주 도시개발의 상징인 ‘순환도로’를 중심으로 광주의 구도심과 신도심, 오래된 건물과 재개발이 한창인 공사장 사이를 거닌다. 김서라는 1980년부터 급격하게 진행된 근대화의 결과 파괴된 것들의 흔적을 수집한다. 그가 시선을 두는 곳은 고층빌딩이 지어지기 이전 사람들이 모여 살던 주거지, 그곳의 풍경을 만들던 소리들, 구도심에 여전히 머무는 사람들의 이야기, 오래된 방직공장에 남아 있는 여성 노동자들의 흔적이다.

곧 허물어질 방직공장의 오래된 건물들을 둘러보며 김서라는 여성 노동자들이 함께 울고 웃던 시간을, 고용주의 폭력에 맞서 싸운 기록을 발견한다. 여성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다시 들은 그는 “광주는 섬유공장의 여성 노동자들이 만든 도시”라는 호명으로 도시의 기원을 다시 쓴다. 역사의 흔적과 기억의 파편을 수집하며 도시를 걷고 쓰는 일은 새로운 모양의 도시를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다.

도시는 점차 그곳에 살아가는 이들의 삶과 동떨어진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사람들이 모여 사는 길과 동네에 그들의 일상과는 무관한 수식어들이 붙고, 도시재생이라는 이름 아래 건물을 허물고 다시 짓는 공사가 끊이지 않는다. 하지만 김서라가 말하듯 도시를 걷는 사람 없이 도시는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도시에서 살아가는 서로를, 서로의 생존 조건을 계속 마주치는 일은 저항의 시작이 될 수 있다. 『이미지의 함께 걷기』는 도시에서의 삶에 지칠 때 붙잡을 수 있는 희망을 건넨다.

책 ‘이미지와 함께 걷기’.
도선인 기자 sunin.do@jnilbo.com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