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만개 ↓’ 20대 일자리 역대급으로 줄었다
통계청 2024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전체 일자리는 15.3만개 ↑… 역대 최소 증가
전체 일자리는 15.3만개 ↑… 역대 최소 증가
입력 : 2025. 05. 21(수) 14:40

채용 박람회 현장. 뉴시스
20대 이하 연령대의 임금근로 일자리가 14만8000개 감소해 역대 최대 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의 경우 15만3000개 증가했지만 역대 최소 폭으로 경기 불황의 분위기가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0만2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15만3000개 증가했다.
다만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폭은 △2024년 1분기 31만4000개 △2024년 2분기 25만4000개 △2024년 3분기 24만6000개 △2024년 4분기 15만3000개로 3개 분기 연속 감소했으며 지난해 4분기 증가폭은 임금근로 일자리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8년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업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14만개)와 협회·수리·개인(2만9000개), 사업·임대(2만6000개), 숙박·음식(2만1000개) 등에서 일자리가 증가했으나 건설(-10만9000개)과 부동산(-9000개), 정보통신(-6000개) 등에서는 감소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2018년 3분기(-11만3000개) 이후 가장 큰 폭이다.
건설업 등 일부 산업 불황은 성별별 고용 여건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4분기 남자의 임금근로 일자리는 전년 동기 대비 3만5000개 감소했지만, 여자의 일자리는 18만7000개 증가했다.
남자는 건설업(-9만4000개)과 정보통신(-9000개), 공공행정(-8000개) 등에서 임금근로 일자리가 줄었고, 여자는 보건·사회복지(11만3000개)와 협회·수리·개인(2만1000개), 숙박·음식(1만7000개) 등에서 임금근로 일자리가 늘었다.
청년층 고용 한파도 지속됐다. 연령대별 임금근로 일자리는 20대 이하(-14만8000개)와 40대(-8만4000개)에서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24만8000개)과 50대(7만개), 30대(6만7000개)는 증가했다.
20대 임금근로 일자리는 2022년 4분기(-3만6000개) 이후 8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감소폭은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수치를 나타냈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0만2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15만3000개 증가했다.
다만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폭은 △2024년 1분기 31만4000개 △2024년 2분기 25만4000개 △2024년 3분기 24만6000개 △2024년 4분기 15만3000개로 3개 분기 연속 감소했으며 지난해 4분기 증가폭은 임금근로 일자리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8년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업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14만개)와 협회·수리·개인(2만9000개), 사업·임대(2만6000개), 숙박·음식(2만1000개) 등에서 일자리가 증가했으나 건설(-10만9000개)과 부동산(-9000개), 정보통신(-6000개) 등에서는 감소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2018년 3분기(-11만3000개) 이후 가장 큰 폭이다.
건설업 등 일부 산업 불황은 성별별 고용 여건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4분기 남자의 임금근로 일자리는 전년 동기 대비 3만5000개 감소했지만, 여자의 일자리는 18만7000개 증가했다.
남자는 건설업(-9만4000개)과 정보통신(-9000개), 공공행정(-8000개) 등에서 임금근로 일자리가 줄었고, 여자는 보건·사회복지(11만3000개)와 협회·수리·개인(2만1000개), 숙박·음식(1만7000개) 등에서 임금근로 일자리가 늘었다.
청년층 고용 한파도 지속됐다. 연령대별 임금근로 일자리는 20대 이하(-14만8000개)와 40대(-8만4000개)에서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24만8000개)과 50대(7만개), 30대(6만7000개)는 증가했다.
20대 임금근로 일자리는 2022년 4분기(-3만6000개) 이후 8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감소폭은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수치를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