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인공지능·전남 농산물 할인’ 정부 추경 반영
광주 AI전략사업 예산 153억 확보
지역화폐·공공배달앱 예산도 포함
전남, 7개 사업 총 2394억원 성과
“민생안정·지역경제 회복에 총력”
입력 : 2025. 05. 06(화) 16:21
광주광역시의 인공지능(AI) 사업·지역화폐·공공배달앱 지원 예산과 전라남도의 농수축산물 할인 지원·무안 및 여수공항 안전시설 확충 예산 등이 ‘2025년도 제1회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됐다.

6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따르면 이번 정부 추경에 광주 인공지능(AI) 전략사업 예산 153억원이 최종 반영됐다. 이에 따라 1단계 사업으로 구축한 국가AI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컴퓨팅자원(GPU) 지원사업 등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인공지능(AI) 예산이 요구액에 비해 충분하지 않아 아쉽지만, 정부의 ‘지역사업 전면 배제’ 분위기 속에서도 일부라도 반영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라고 전했다.

AI 예산과 함께 광주시·대구시 등 4개 광역시가 요청한 ‘도시철도 통합무선망철도 구축사업비’ 178억원도 반영, 도시철도의 안전운행 환경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또 광주시가 선제적으로 정책 효과를 입증하고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한 지역화폐와 공공배달앱 예산도 포함됐다.

이번 정부 추경에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이 반영됨에 따라 광주상생카드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달의민족 등 대기업의 횡포에 맞서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배달앱’을 운영한 광주시의 끊임없는 건의에 공공배달앱 지원 예산 650억원이 신규 반영됐다.

이번 추경에는 공공배달앱 뿐 아니라 연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최대 연간 50만원을 지급하는 ‘부담경감크레딧’(1조6000억원), 소비 확대를 유도하는 ‘상생페이백’(1조4000억원), ‘소상공인 정책자금’(8300억원) 등 총 4조2000억원의 소상공인 지원 예산도 반영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해 말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예산 증액이 무산됐는데 이번 추경에 아쉽지만 일부가 만회돼 다행이다”며 “광주는 AI 국가경쟁력의 핵심 플랫폼이자 민생경제 안정의 선도도시로서 역할을 앞장서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앞으로도 전략적 국비 확보와 민생중심 정책 추진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라남도는 정부의 민생 추경예산에 도와 직접 연관된 7개 사업 총 2394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확보된 주요 예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농수축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할인 지원 사업(1700억 원)이다. 이는 최근 소비 위축과 가격 불안정으로 어려움을 겪는 생산농가와 유통업계를 지원하는 것으로, 타 시도 대비 전남 농수축산물의 공급 규모와 소비 잠재력을 반영해 높은 수혜가 예상된다.

또한 최근 항공 사고와 관련해 안전 인프라 강화가 시급한 상황에서, 무안·여수공항에 둔덕계량 설계, 조류 감시 레이더, 기타 안전시설 개선 등을 포함한 공항 안전시설 확충 예산 35억6000만 원도 반영됐다.

이외에도 △무기질비료 가격보조 및 수급안정 지원(예정액 55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예정액 260억 원) △산업위기지역 고용충격 대응 예산(50억 원) 등도 포함됐다. 특히 여수국가산단 내 고용불안 문제 대응과 농업인의 경영부담 완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는 이번 추경이 민생 중심으로 짜인 만큼, 지역별 사업검토가 배제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회 예결위 단계에서 실익 위주의 전략적 대응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전남은 비료지원이나 농수산 할인 등에서 높은 수혜 가능성이 있는 사업을 우선 반영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석유화학산업 위기 대응 등 일부 지역 맞춤형 예산 반영이 미흡한 점은 아쉽지만, 국회 심의 과정에서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원을 위한 부대의견을 확보한 것이 의미 있다”며 “정부의 제2차 추경에도 대비해 전남의 민생 회복과 산업 회생을 위한 예산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오지현·정상아 기자
전남도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