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제주 지진 계기 광주전남 지진대책 점검을
 지자체 피해 모니터링 필요
입력 : 2021. 12. 15(수) 17:01

그제 오후 제주 해역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으로 광주·전남지역민들이 두번 크게 놀랐다.한번은 기상청이 발송한 긴급 재난문자 요란한 경고음 탓이었고 다른 한번은 실제 진동 때문이었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 5시 19분 14초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km 해역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지진으로 광주·전남에서도 진동을 느꼈다는 신고가 잇따랐다. 광주·전남 소방본부에 따르면 집과 사무실 등이 흔들린다는 신고가 각각 24건과 37건 접수됐다. 진앙지에서 가까운 목포·여수·해남순으로 신고 건수가 많았다. 짧게는 3∼4초, 길게는 10초 가까이 건물이 흔들렸다는 신고 내용이 주류를 이뤘다. 기상청은 전남에서 최대 진도 Ⅲ, 광주에서 Ⅱ 등급으로 예상했다. 최대 진도 Ⅲ일 경우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지진을 느낄 수 있는 정도다. 지진으로 인한 지역 내 인명·재산 피해는 어제 오전까지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육안으로 쉽게 인지 가능한 확실한 피해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건축물의 경우 현재는 피해 상황을 파악할 수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나타날 수 있다. 한 마디로 눈에 보이지 않은 내상이 있을 수 있다는 말이다. 하여 각 지자체와 소방당국은 지진 피해 여부를 허투루 조사하지 말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설이 노후한 다중 이용시설과 독거 노인 거주 주택 등은 면밀한 조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지자체의 경우 코로나 19 대응하기에도 벅찬데 지진 피해 조사를 할 필요가 있냐고 인력탓을 하면 안된다. 대부분 재난과 재앙은 이러한 방심과 빈틈을 파고들기 때문이다. 작은 문제가 발생했을때 적절한 조치를 했느냐에 따라 향후 있을 피해 정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번 제주 지진은 광주·전남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을 체감시킨 계기가 됐다.이번 지진에 관한 종합적인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지진 안전 대책을 점검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 대책에는 지진발생시 행동 수칙 훈련도 포함돼야 할 것이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