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협상 결렬 시 29일 첫차부터 '파업'
입력 : 2025. 05. 28(수) 18:36
시내버스. 연합뉴스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 찬반투표의 가결에 따라 쟁의권을 확보한 가운데, 사측과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다.

28일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광주 버스 노조에 따르면 2025년 쟁의 행위(파업)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가 가결됐다. 투표에는 조합원 1362명 중 1091명이 참여했고 973명(89.2%)이 찬성표를 던졌다. 반대는 111명, 무효는 7명이었다.

노조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오후 6시30분 현재 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가 중재하는 2차 조정회의를 진행 중이다. 이날 협상에서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경우 쟁의권이 확보되는 29일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임금 8.2% 인상(4호봉 기준 월 34만원), 65세로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해마다 불어나는 적자를 이유로 임금 동결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시는 2007년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해오고 있으며, 2012년 전국 최초로 시급제를 도입했다. 준공영제를 도입할 때부터 적자 규모가 확대되다 지난해에는 1422억원의 적자를 광주시가 보존했다.

이에 노조는 “요금은 10년째 제자리인데다, 무료 환승 확대와 마을·군내버스 노선 증가가 적자의 본질적 원인이다”고 반박하며 임금 인상 등을 요구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파업을 예고했던 서울 버스 노조가 보류 방침을 세우는 등 타 지역 상황이 변하고 있지만 이와 별개로 협상 결렬 시 파업에 돌입하겠다는 게 광주 버스노조 방침이다.

광주시는 29일 시내버스 파업 가능성에 대비해 비노조원을 투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파업 전 대비 시내버스 운행 70%를 유지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계획을 마련했다.

광주시는 파업에 들어가도 전체 운전원 2400여명 중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비노조원 등 1020여명(42%)은 버스 운행이 가능하다고 판단, 평상 시 운행 중인 버스 1000대 중 700(70%)는 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있다.

만약 파업 장기화로 운전원의 피로 누적에 따른 시내버스 운행 대수 감소가 불가피할 경우 임차버스 등도 투입할 방침이다.

또 파업 기간 중 시내버스 운행 대수 감소가 불가피함에 따라 노선별 이용 인원과 출퇴근 시간 등을 고려해 시내버스 운행노선과 시간표를 조정하고 도시철도와 택시 운행을 확대할 예정이다.

자치구, 교육청, 기관·기업 등과 협력해 등하교 시간 연장, 출퇴근 유연근무 확대, 승용차 함께 타기 캠페인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