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재외투표 시작… 118개국 26만여명 대상
투표소 223개 설치… 오는 25일까지 진행
룩셈부르크·리투아니아·쿠바 등 첫 실시
룩셈부르크·리투아니아·쿠바 등 첫 실시
입력 : 2025. 05. 21(수) 08:15

한 유권자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재외투표가 시작된 지난 20일 일본 도쿄 미나토구 주일한국대사관 재외투표소에서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고 있다. 연합뉴스
다음 달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해외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유권자들의 재외투표가 지난 20일(지역별 현지 시간)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미주 등 세계 곳곳에서 시작됐다.
이번 대선 재외투표는 118개국의 223개 투표소에서 오는 25일까지 엿새간 진행된다. 유권자 수는 총 25만8254명으로, 지난 20대 대선 때보다 14.2% 늘었다. 대륙별로는 아시아가 12만8932명(49.9%)으로 가장 많고, 이어 미주 7만5607명(29.3%), 유럽 4만3906명(17.0%) 등이다 .
날짜변경선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먼저 투표가 시작된 뉴질랜드에서는 예비 대학생인 김현서씨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 이번 대선의 첫 투표자로 이름을 올렸다.
뉴질랜드에 이어 재외유권자가 특히 많은 중국과 일본에서도 투표가 잇달아 개시됐다. 일본에서는 도쿄 미나토구 민단 중앙회관 강당에 마련된 투표소를 비롯해 요코하마, 오사카, 고베, 삿포로, 센다이, 후쿠오카 등지에 투표소가 설치됐다.
중국에서는 베이징 주중대사관을 비롯해 광저우·상하이·선양·시안·우한·청두·칭다오·홍콩 총영사관과 다롄 출장소 등 모두 10곳에 투표소가 마련됐다. 선관위는 베이징 한인타운 왕징과 근교 톈진 등에 교민 수송 셔틀버스를 배정해 투표소 이동을 돕기도 했다.
중국에서 20년가량 미용업을 했다는 김무영(50)·황순재(37) 씨는 투표를 마친 뒤 “개인과 당의 이익보다는 국익을 위해 정치를 할 사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국 파견 근무 중인 주재원 임영아(42) 씨는 “요즘 국내외 정국이 너무 시끄러워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사람을 뽑고 싶었다”며 “정권에 따라 한중 관계와 정책이 많이 바뀌는데, 장기적 안목으로 정책을 만들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베트남에서는 역대 최다인 1만6693명이 투표를 위해 국외 부재자 신고를 했다. 하노이의 주베트남 대사관 재외투표소에서 투표한 최영삼 대사는 “관계 발전에 따라 교민 사회가 커진 데다 이번 대선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이 국외 부재자 신고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표를 위해 먼 거리를 달려온 유권자들도 있었다. 영국 런던의 주영국대사관 재외투표소에서 표를 행사한 윤모(44) 씨는 가족과 함께 기차로 2시간 30분 거리인 요크에서 왔다. 윤씨는 “나라가 어려운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투표라서 왔다”며 “차기 대통령은 나라를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면 된다”고 말했다.
프랑스와 독일, 벨기에,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주요 국가에서도 재외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또 이번 대선부터는 지난 해 신설된 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룩셈부르크 공관에도 투표소가 마련돼 유권자들이 몇 시간씩 주변 국가의 투표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현지에서 투표할 수 있게 됐다.
주러시아대사관도 재외선거가 개시된 직후 차분한 분위기에서 많은 교민이 투표에 참여하고 있고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등 아프리카와 중동의 한국대사관에서도 재외국민 투표가 이뤄지고 있다.
미국에서도 수도 워싱턴 D.C.를 비롯해 뉴욕, 로스앤젤레스(LA),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시카고, 애틀랜타 등지의 투표소에서 재외투표가 시작됐다. 이 가운데 1만341명의 유권자가 등록한 LA총영사관 재외투표소는 이날 오전 8시 문을 열자마자 유권자들의 발길이 잇따르면서 입구가 북적였다.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UCLA)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고 있다는 정재호(44)씨는 “국민들이 바라는 것은 하나일 것”이라며 “대통령 탄핵이 벌써 두 번째 있었고 지금 여러모로 어수선한 상황인데 아무쪼록 대한민국을 위해서 국민들을 생각해서 나라를 잘 부탁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했다.
미국에서 8년째 살고 있다는 하정호(60)씨는 “우리 국민들이 너무 애를 쓴 결과로 하게 된 투표이기 때문에, 그 과정이 너무 힘겨웠다는 생각을 하니 투표하면서 눈물이 날 것 같았다”며 “앞으로 대한민국이 잘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중남미 지역의 주멕시코대사관과 브라질 주상파울루 한국교육원, 주아르헨티나 대사관, 재칠레 한인회관, 주파라과이 대사관, 주페루 대사관, 주볼리비아 대사관 등지에서도 순조롭게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 1월 대사관 문을 연 쿠바를 비롯해 중남미 일부 국가에서는 오는 22일부터 재외투표가 개시된다.
노병하 기자·연합뉴스
이번 대선 재외투표는 118개국의 223개 투표소에서 오는 25일까지 엿새간 진행된다. 유권자 수는 총 25만8254명으로, 지난 20대 대선 때보다 14.2% 늘었다. 대륙별로는 아시아가 12만8932명(49.9%)으로 가장 많고, 이어 미주 7만5607명(29.3%), 유럽 4만3906명(17.0%) 등이다 .
날짜변경선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먼저 투표가 시작된 뉴질랜드에서는 예비 대학생인 김현서씨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 이번 대선의 첫 투표자로 이름을 올렸다.
뉴질랜드에 이어 재외유권자가 특히 많은 중국과 일본에서도 투표가 잇달아 개시됐다. 일본에서는 도쿄 미나토구 민단 중앙회관 강당에 마련된 투표소를 비롯해 요코하마, 오사카, 고베, 삿포로, 센다이, 후쿠오카 등지에 투표소가 설치됐다.
중국에서는 베이징 주중대사관을 비롯해 광저우·상하이·선양·시안·우한·청두·칭다오·홍콩 총영사관과 다롄 출장소 등 모두 10곳에 투표소가 마련됐다. 선관위는 베이징 한인타운 왕징과 근교 톈진 등에 교민 수송 셔틀버스를 배정해 투표소 이동을 돕기도 했다.
중국에서 20년가량 미용업을 했다는 김무영(50)·황순재(37) 씨는 투표를 마친 뒤 “개인과 당의 이익보다는 국익을 위해 정치를 할 사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국 파견 근무 중인 주재원 임영아(42) 씨는 “요즘 국내외 정국이 너무 시끄러워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사람을 뽑고 싶었다”며 “정권에 따라 한중 관계와 정책이 많이 바뀌는데, 장기적 안목으로 정책을 만들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베트남에서는 역대 최다인 1만6693명이 투표를 위해 국외 부재자 신고를 했다. 하노이의 주베트남 대사관 재외투표소에서 투표한 최영삼 대사는 “관계 발전에 따라 교민 사회가 커진 데다 이번 대선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이 국외 부재자 신고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표를 위해 먼 거리를 달려온 유권자들도 있었다. 영국 런던의 주영국대사관 재외투표소에서 표를 행사한 윤모(44) 씨는 가족과 함께 기차로 2시간 30분 거리인 요크에서 왔다. 윤씨는 “나라가 어려운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투표라서 왔다”며 “차기 대통령은 나라를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면 된다”고 말했다.
프랑스와 독일, 벨기에,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주요 국가에서도 재외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또 이번 대선부터는 지난 해 신설된 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룩셈부르크 공관에도 투표소가 마련돼 유권자들이 몇 시간씩 주변 국가의 투표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현지에서 투표할 수 있게 됐다.
주러시아대사관도 재외선거가 개시된 직후 차분한 분위기에서 많은 교민이 투표에 참여하고 있고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등 아프리카와 중동의 한국대사관에서도 재외국민 투표가 이뤄지고 있다.
미국에서도 수도 워싱턴 D.C.를 비롯해 뉴욕, 로스앤젤레스(LA),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시카고, 애틀랜타 등지의 투표소에서 재외투표가 시작됐다. 이 가운데 1만341명의 유권자가 등록한 LA총영사관 재외투표소는 이날 오전 8시 문을 열자마자 유권자들의 발길이 잇따르면서 입구가 북적였다.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UCLA)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고 있다는 정재호(44)씨는 “국민들이 바라는 것은 하나일 것”이라며 “대통령 탄핵이 벌써 두 번째 있었고 지금 여러모로 어수선한 상황인데 아무쪼록 대한민국을 위해서 국민들을 생각해서 나라를 잘 부탁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했다.
미국에서 8년째 살고 있다는 하정호(60)씨는 “우리 국민들이 너무 애를 쓴 결과로 하게 된 투표이기 때문에, 그 과정이 너무 힘겨웠다는 생각을 하니 투표하면서 눈물이 날 것 같았다”며 “앞으로 대한민국이 잘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중남미 지역의 주멕시코대사관과 브라질 주상파울루 한국교육원, 주아르헨티나 대사관, 재칠레 한인회관, 주파라과이 대사관, 주페루 대사관, 주볼리비아 대사관 등지에서도 순조롭게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 1월 대사관 문을 연 쿠바를 비롯해 중남미 일부 국가에서는 오는 22일부터 재외투표가 개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