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2년간 622억 지방교부세 추가 지원
석유화학산단 최초 '산업구조 전환점'
김 지사 “에너지산업벨트 구축 추진”
입력 : 2025. 05. 01(목) 16:05
여수국가산단
정부가 1일 전라남도 여수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공식 지정했다. 석유화학의 중심지인 여수국가산단이 구조적 쇠퇴 위기에 직면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로, 정부가 지역 산업의 위기를 선제적으로 인식하고 대응에 나선 첫 사례다.

이번 지정에 따라 여수시는 2년간 약 622억 원의 지방교부세를 추가로 지원받고, 총 3707억 원 규모의 정부 지원 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전라남도와 여수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여수산단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정부는 “대외 불확실성과 내수부진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경제와 기업의 시급한 요청에 대해서 필요한 지원을 적기에 추진하겠다”며 “여수지역내 기업의 경영 안정과 투자, 고용 회복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정 기간은 2년으로, 이 기간 동안 여수시는 약 622억 원 규모의 지방교부세를 추가로 배정받게 됐다. 전남도와 여수시는 총 3707억 원 규모의 5개 분야 19개 지원사업을 발굴해 정부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1967년 조성된 여수산단은 60년 가까이 대한민국 석유화학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의 공급 과잉 등 복합적인 위기로 입주 기업 상당수가 지난해 최소 수백억 원에서 수천억 원대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영난에 빠져 있다.

입주 기업들의 영업 부진은 지자체 재정에도 직격탄이 됐다. 지방세수 급감으로 재정난에 처한 여수시는 지난 3월 18일 임시회를 통해 440억 원 규모의 ‘2025년도 지방채 발행계획 동의안’을 의결하고 7년여 만에 지방채 발행을 결정했다.

이 같은 위기 상황에 전라남도는 지난해 7월 ‘여수 석유화학산업 위기대응 전략수립 용역’을 시작으로, 9월에는 위기 대응 협의체와 TF팀을 구성해 기업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대응에 나섰다. 같은 해 11월에는 ‘여수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수립해 정책적 기반도 마련했다.

전남도는 이번 지정을 산업위기 극복과 미래 신산업 중심지로의 전환을 위한 결정적 계기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24조8000억 원 규모의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도 본격화해 탄소중립, 수소에너지, 스페셜티 및 인공지능(AI) 산업 등 미래 신산업 기반을 지역에 확고히 구축하고, 앞으로도 여수산단 경쟁력 회복과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이번 결정은 여수 석유화학산업이 생태계를 회복하고 미래형 산업구조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여수국가산단과 묘도를 중심으로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클러스터와 청정수소 에너지 산업벨트 조성을 본격 추진하고, 국가기간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구조 조정 및 경쟁력 강화 특별법 제정 등을 위해 온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전남도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