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 국정 우선과제 48% '경제회복·활성화'
‘국민 통합·갈등 해소’ 13%,
‘민생문제 해결·생활안정’ 9%
입력 : 2025. 04. 11(금) 11:12
 유권자 절반가량은 차기 대통령이 먼저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경제회복·활성화’를 꼽았다는 여론조사가 11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8∼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5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차기 대통령의 국정 우선 과제로 48%는 경제회복·활성화를 바랐다.

 ‘국민 통합·갈등 해소’(13%), ‘민생 문제 해결·생활 안정’(9%), ‘계엄 세력 척결’(8%), ‘외교·국제관계’(7%), ‘검찰 개혁’, ‘국가 안정화’(이상 6%), ‘정치 개혁·여야 협치’, ‘저출생 대책’(이상 5%), ‘서민·복지 정책’(4%), ‘좌경화 대응·좌파 척결’, ‘대미 관계·트럼프 관세 대응’, ‘선거 공정성·부정선거 해소’, ‘법질서 확립’, ‘부동산 문제 해결’(이상 3%)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회복·활성화는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언급됐고, 국민 통합은 상대적으로 남성, 민생·생활안정은 여성이 더 기대했다. 20대는 저출생 대책, 40·50대는 계엄 세력 척결과 검찰 개혁 요구가 비교적 높았다.

 한국갤럽은 “‘국민 통합·갈등 해소’, ‘계엄 세력 척결’, ‘검찰 개혁’, ‘국가 안정화’, ‘좌경화 대응’, ‘선거 공정성·부정선거 해소’ 등은 과거 국정 우선 과제 후순위였거나,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내용”이라며 “각 사안은 비상계엄 사태, 탄핵 정국과 연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3년 전인 2022년 1월 초 제20대 대통령 국정 우선 과제 질문에는 ‘경제 활성화’와 ‘부동산 문제 해결’이 각각 32%로 최상위였고, ‘코로나19 대처’가 15%로 그 뒤를 이었다”고 덧붙였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안 인용 판결에 대해선 69%가 잘된 판결이라고 답했고, 25%는 잘못된 판결이라고 답했다. 7%는 의견을 유보했다.

 성향 진보층의 96%, 중도층의 80%가 잘됐다고 평가했다. 보수층에서는 긍정론이 39%, 부정론이 56%였다.

 무당층에서는 65%가 잘된 판결이라고 봤고, 14%는 잘못된 판결이라고 평가했다.

 한국갤럽은 “헌재 선고 직전인 지난주 보수층에서의 탄핵 찬성이 22%, 반대가 74%였던 것을 고려하면 그들 중 일부는 선고 결과를 수용한 것으로 읽힌다”고 분석했다.

 비상계엄 사태 수사와 탄핵 심판 관련 6개 기관에 대한 신뢰 여부를 물은 결과에서는 헌법재판소에 대해선 61%가 신뢰, 31%는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신뢰 51%-비신뢰 38%’였고, 경찰 ‘신뢰 47%-비신뢰 40%’, 법원 ‘신뢰 46%-비신뢰 44%’,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신뢰 32%-비신뢰 55%’, 검찰 ‘신뢰 25%-비신뢰 63%’였다.

 윤 전 대통령 파면이 잘된 판결이라고 답한 이들 중 헌재를 신뢰하는 사람은 82%, 선관위를 신뢰하는 사람은 70%였다.

 절반 가량은 경찰과 법원도 신뢰했고, 공수처에 대해선 신뢰 42%, 비신뢰 43%로 비슷했다. 검찰에 대해선 신뢰가 21%, 비신뢰 71%로 불신이 컸다.

 파면이 잘못된 판결이라고 답한 이들 중에서는 공수처·선관위·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각각 90% 안팎으로 높게 나타났다. 법원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75%로 높았다.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에서 헌재와 선관위 신뢰는 올해 1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다시 상승했다”며 “지난 3개월간 비상계엄 수사와 대통령 탄핵 심판 과정에서 이 기관들이 보인 거취에 일부 유권자들이 인식을 달리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4.9%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hic@yna.co.kr
4·10 총선 여론조사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