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지지율, 4.7%p 떨어진 32.6%…2022년 7월 이후 최대 낙폭
입력 : 2024. 04. 15(월) 08:25

윤석열 지지율
4·10 총선이 진행된 지난 주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4.7%포인트 떨어지며 32.6%를 기록한 것으로 15일 나타났다. 12일 일간 지지율은 28.2%까지 떨어졌는데 이는 취임 후 가장 낮은 일간 수치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 의뢰로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공휴일인 10일 제외) 나흘 동안 18세 이상 유권자 2010명에 ‘윤 대통령이 국정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보는가’를 물은 결과 32.6%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긍정 평가가 전주 대비 4.7%포인트가 떨어졌는데 이는 2022년 7월1주차(-7.4%포인트)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4.1% 높아진 63.6%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4월 셋째 주(64.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 주 윤 대통령의 일간 지지율은 37.1%(9일)로 시작해 선거 다음 날인 11일 30.2%, 12일에는 28.2%까지 떨어졌다. 리얼미터 측은 “2022년 취임 후 기존 일간 최저치(28.7%)를 경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과 권성동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텔레그램 메시지가 발각된 2022년 8월29일 윤 대통령의 일간 지지율은 28.7%까지 하락했는데 약 1년6개월만에 최저치를 갈아치운 것이다.
거의 전 지역에서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지지율이 떨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이 석권한 ‘인천·경기’ 지역의 지지율은 7.8%포인트, ‘서울’은 3.3%포인트 하락했다. 텃밭인 ‘부산·울산·경남’에서도 5.0%포인트가 하락했다.
이념 성향별로 봤을 때도 보수층 지지율은 8.6%포인트, 중도층 지지율은 3.7%포인트, 진보층 지지율은 2.3%포인트 등 전반전으로 떨어졌다.
최홍태 리얼미터 선임연구원은 “국민의힘의 총선 패배에 따른 ‘용산 책임론’이 불거지며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주 후반 이틀 연이은 급락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여권의 총선 참패 이후 정부 견제론을 지지하는 이들의 고양감이 도드라진 동시에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여론이 위축되며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그간 윤석열 정부가 지속한 ‘감세 및 규제 완화’ ‘민생토론회 공약 이행’ ‘의료 개혁’ 등 정책을 기반한 지지율 상승 동력이 정국 주도권 상실로 불투명해졌다. 또 야권의 특검 압박이 예정된 가운데 윤 대통령은 당분간 불리한 국면을 감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무선(97%)과 유선(3%) 자동응답 방식,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뉴시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 의뢰로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공휴일인 10일 제외) 나흘 동안 18세 이상 유권자 2010명에 ‘윤 대통령이 국정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보는가’를 물은 결과 32.6%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긍정 평가가 전주 대비 4.7%포인트가 떨어졌는데 이는 2022년 7월1주차(-7.4%포인트)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4.1% 높아진 63.6%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4월 셋째 주(64.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 주 윤 대통령의 일간 지지율은 37.1%(9일)로 시작해 선거 다음 날인 11일 30.2%, 12일에는 28.2%까지 떨어졌다. 리얼미터 측은 “2022년 취임 후 기존 일간 최저치(28.7%)를 경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과 권성동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텔레그램 메시지가 발각된 2022년 8월29일 윤 대통령의 일간 지지율은 28.7%까지 하락했는데 약 1년6개월만에 최저치를 갈아치운 것이다.
거의 전 지역에서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지지율이 떨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이 석권한 ‘인천·경기’ 지역의 지지율은 7.8%포인트, ‘서울’은 3.3%포인트 하락했다. 텃밭인 ‘부산·울산·경남’에서도 5.0%포인트가 하락했다.
이념 성향별로 봤을 때도 보수층 지지율은 8.6%포인트, 중도층 지지율은 3.7%포인트, 진보층 지지율은 2.3%포인트 등 전반전으로 떨어졌다.
최홍태 리얼미터 선임연구원은 “국민의힘의 총선 패배에 따른 ‘용산 책임론’이 불거지며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주 후반 이틀 연이은 급락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여권의 총선 참패 이후 정부 견제론을 지지하는 이들의 고양감이 도드라진 동시에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여론이 위축되며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그간 윤석열 정부가 지속한 ‘감세 및 규제 완화’ ‘민생토론회 공약 이행’ ‘의료 개혁’ 등 정책을 기반한 지지율 상승 동력이 정국 주도권 상실로 불투명해졌다. 또 야권의 특검 압박이 예정된 가운데 윤 대통령은 당분간 불리한 국면을 감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무선(97%)과 유선(3%) 자동응답 방식,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