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벼랑 끝 지역경제 살릴 해결사 필요할 때
지역회생 공허한 구호 안돼
입력 : 2025. 05. 15(목) 16:25
광주광역시·전라남도의 고용지표가 거듭 악화되며 지역경제가 위태롭다.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광주와 전남의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2만 3000명 가까이 줄었다. 광주는 전국에서 고용률 하락폭이 가장 컸고, 전남도 여성 고용률이 급감했다. 상용직은 줄고 임시·일용직은 늘었으며, 36시간 이상 취업자도 감소해 고용의 질이 전반적으로 후퇴했다.

통계는 냉정하다. 광주의 15~64세 고용률은 1.3%p 떨어져 전국에서 하락폭이 가장 컸고, 청년과 여성의 고용이 특히 감소했다. 전남도 농림어업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줄었고, 상용근로자는 2만 3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와 무급가족 종사자까지 줄며 지역경제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를 넘어 구조적 위기다. 이럴수록 정치는 응답해야 한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발표된 대선 후보들의 경제 공약은 말 잔치가 아닌 생존 해법이 돼야 한다. 국민의 표심은 고통의 반영이다.

지역경제를 되살릴 해결사가 누구인지, 이제 후보들이 스스로 증명할 때다. 이재명 후보는 AI·K콘텐츠 중심의 신산업 육성과 상법 개정, 공정거래 강화 등을 약속했다. 김문수 후보는 법인세·상속세 인하, 산업 전기료 감면, AI 인재 양성과 펀드 조성을 제시했다. 이준석 후보는 부처 개편과 리쇼어링(기업 국내 복귀), 법인세 자치권 확대 등 지역 경제 자율성 확보를 강조했다. 모두가 ‘경제’를 1호 공약으로 내건 것은 민심의 절박함을 반영한다. 하지만 공약은 내세우는 것보다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경제는 더 이상 실험 대상이 아니다.

이젠 지역 현실을 국가의 과제로 삼고 실행할 준비가 된 후보가 필요하다. 균형발전은 선언이 아니라 구조 개혁을 동반해야 하며, 지역이 살아야 나라의 지속 가능성도 담보된다. 이번 대선만큼은 ‘지역경제 회생’이 공허한 구호가 되어선 안 된다. 정쟁이 아닌 실천의 공약이 절실하다. 벼랑 끝에 선 지역경제를 일으킬 진짜 적임자가 반드시 선택돼야 한다.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