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전야제, 금남로서 개막
입력 : 2025. 05. 17(토) 18:55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전야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광주역과 전남대, 조선대 등지에서 출발한 시민들로 이뤄진 ‘민주평화대행진단’이 행사장으로 들어오고 있다. 뉴시스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기념하는 전야제가 17일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일원에서 시작됐다.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을 주제로 한 올해 전야제는 사전대회와 본행사, 대동한마당 등 3부로 마련됐다.

전야제는 5월 항쟁 당시 민주주의를 외치며 금남로를 행진하던 시민들의 모습을 재연한 ‘민주평화대행진’로 막을 올렸다.

행진은 5·18 사적지인 전남대와 광주역을 비롯해 조선대, 광주고, 북동성당 등 모두 5곳에서 출발해 메인 무대가 마련된 금남공원 앞 교차로까지 30분~1시간가량 이어졌다. 5·18을 의미하는 오후 5시18분에는 모든 구역에서 묵념을 하는 시간도 가졌다.

올해 전야제 무대는 금남공원 앞 사거리로 옮겨졌다. 수만 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5·18 행사위원회는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교차로의 4방향을 모두 활용키로 했다.

행사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우원식 국회의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전야제에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도 참석한다.

본 행사는 1979~80년 신군부의 비상계엄과 2025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이야기하는 뮤지컬 ‘봄의 겨울, 겨울의 봄’으로 절정에 오른다. 이어 2023년 노조탄압 중단 등을 요구하며 분신해 숨진 민주노총 건설노조 간부 고(故)양회동씨 유족 등의 발언과 작곡가 이형석과 가수 이은미의 공연이 펼쳐진다.

전야제에 앞서 금남로에서는 시민 난장이 펼쳐지기도 했다. 5월 대동 정신의 상징인 주먹밥 나눔부터 여성·노동·환경·인권 등을 주제로 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이 진행됐으며 12·29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세월호광주시민상주모임 등 사회적 참사 피해자들과 가족들도 함께 했다.
정유철 기자
518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