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소상공인 연대, 대선 후보에 11개 정책 제안
민생경제도약 정책 로드맵 제시 요청
입력 : 2025. 05. 15(목) 18:05
‘포용·공정·정의로운 디지털전환도시 광주연대’(포공정 광주연대)는 15일 지역 2만여명의 소상공인이 뜻을 모아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생 경제 도약을 위한 제언을 발표했다.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제공
광주지역 주요 소상공인·자영업·소비자 단체가 결성한 ‘포용·공정·정의로운 디지털전환도시 광주연대’(포공정 광주연대)가 15일 지역 2만여명의 소상공인이 뜻을 모아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생 경제 도약을 위한 제언을 발표했다.

‘포공정 광주연대’는 ‘지난해 배달의 민족 중개수수료 기습 인상에 맞서 자발적으로 결성된 광주지역 소상공인 중심의 시민연대로, 광주소상공인연합회, 한국외식업중앙회 광주시지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광주시지회, 한국소비자연합회 광주시지회,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등이 함께 연대 중이다.

연대는 ‘배달의 민족 독립선언’을 시작으로 대구, 울산 등 전국 릴레이 선언과 1000인 디지털 서명운동, 국회 토론회 등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배달앱 상생협의체 개선과 중개수수료 상한제 입법 반영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지난해 환승배달에 이어 올해 공정배달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으며 키오스크 태블릿 중심 스마트오더를 중단하고 QR주문을 국가 표준으로 삼자는 제안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비용을 낮추고 상품화·판로 지원을 통한 매출 증대라는 실질적 변화로 확장되고 있으며, 지역 자생형 경제혁신의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연대는 △수요 혁신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K-디지털 상공인 도약 등 3개 범주, 11개 정책 제안을 제시했다.

우선 ‘수요 혁신’ 범주에서는 △지역화폐 발행 확대·온누리 상품권과의 사용 편의·시너지 제고 △ 공공부문·기업의 국내 생산품 우선 구매 ·지역사회 연계 소비 장려 (ESG 경영 연계) △ 소상공인 우수 제품 발굴, 상품화·국내외 판로 개척 원스톱 지원 시스템 구축 △ 지역 특색을 살린 ‘글로컬(Glocal) 특화 골목상권’ 조성·로컬 브랜드 육성 지원 강화 등을 제시했다.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으로는 △ QR코드 기반 스마트 주문결제 시스템 표준화 및 전국적 보급 확대 △ 플랫폼 공정화법 입법을 통한 배달중계수수료 상한제 도입·공공배달앱의 유효적 경쟁사 육성 △ 정부 디지털 전환 지원 사업 참여 시 소상공인 자부담 비율 현실화·행정 절차 간소화 △ 소상공인 자영업자 의무 건강검진일 손실보상 지원으로 검진율 높히기 △ 수출 소상공인을 위한 글로벌 인플루언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 담겼다.

‘K-디지털 상공인 도약’ 분야로는 △수출 소상공인을 위한 글로벌 인플루언서 협력 네트워크 구축, AIC(AsiaN Influencer Congress) 개최 △‘K-프랜차이즈’ 해외 진출 전략 컨설팅·지식재산권 보호 지원 확대 △ AI기반 상세페이지 자동화 플랫폼·디지털 시장 상권분석 플랫폼 구축 운영 등이 포함됐다.

연대는 “본 정책 제언은 단순한 요구를 넘어 광주에서 검증된 ‘함께 사는 경제’, ‘공정한 디지털’, ‘상생의 시장’을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장하는 민생경제 혁신 모델이다”며 “소상공인이 다시 희망을 가질수 있도록 공정과 혁신, 그리고 사람중심의 경제로의 전환에 함께해 주길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광주시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