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득표율로 의원 평가…'줄세우기' 논란
이재명식 ‘성과 중심 공천 시스템’
“봉선동·광양시, 지역특성·고려해야”
계파 정리 수단·지역 기반 약화 우려
"당내 분열·공천 갈등의 반작용 초래"
“봉선동·광양시, 지역특성·고려해야”
계파 정리 수단·지역 기반 약화 우려
"당내 분열·공천 갈등의 반작용 초래"
입력 : 2025. 05. 06(화) 18:58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5일 경기도 양평군 양평물맑은시장에서 열린 ‘골목골목 경청투어’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6·3 대선에서 국회의원의 지역구별 투표율과 ‘이재명 후보 득표율’을 의원 평가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당내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민주당 핵심 지지 기반인 호남지역의 경우 전체적으로 평균 득표율은 높으나,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이나 전라남도 순천·광양시 등 일부 보수 성향을 보이는 지역구도 있어 “정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평가”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6일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선거의 각 지역구별 투표율과 득표율을 국회의원 평가 지표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선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점수로 환산해 내년 지방선거와 차기 총선 공천에 활용한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전국 읍면동 단위로 당시 이재명 후보에 대한 득표율을 지방선거 공천 기준으로 반영한 바 있어 이번 조치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이에 당 내부에선 이번 평가 기준 도입이 이재명의 실용·성과주의 철학을 반영한 ‘성과 중심 공천 시스템’의 시발점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난 대선에서 0.73%p 차이로 석패하지 않았나. 지역구에서의 직함을 떠나 실질적인 성과를 낸 인사를 높이 평가하겠다는 것이 이 후보의 뜻”이라며 “득표율과 투표율은 성과 중심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지표로, 선관위에서 모든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성과 중심의 정량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민주당은 전국 17개 시·도별로 차등화된 득표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역 의원과 지역위원장들에게 투표 독려를 강조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80%대 득표율을 기록한 호남지역의 올해 대선 득표율 목표를 90%로 설정했다.
그러나 호남 일부 지역에선 관련 기준이 “정치 지형과 유권자 성향이 반영되지 않은 기계적 평가”라는 반발이 나온다.
익명을 요청한 한 광주광역시의원은 “봉선동의 경우 광주에서도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이라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39%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이재명 후보는 54.2%에 그쳤다”며 “지금은 비상계엄 등으로 봉선동의 민심이 민주당으로 기울긴 했지만, 광주 타 지역에 비해 보수 지지세가 높아 시작점 자체가 다른 지역을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는 건 억울한 피해자를 낳을 수 있다”고 토로했다.
전라남도 또한 타 정당 후보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지세가 존재하는 순천·광양·여수 등 동부권의 항의가 거세다.
실제 지난 2022년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의 전남 전체 평균 득표율은 86.10%였다. 여수시는 86.03%로 평균에 근접했지만, 순천은 85.12%, 광양은 81.35%로 평균보다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당 순천지역위원회 관계자는 “호남은 이미 전국에서 민주당을 향해 가장 많은 표를 주고 있으며, 투표율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기준을 제대로 적용하려면 해당 지역이 안고 있는 정치적 다양성과 무소속 강세 구도 등을 반영해야 하지 않나. 형평성을 반영한 평가 기준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주당 영광지역위원회 관계자는 “새 인물 발굴을 위한 성과 중심 공천 기준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에는 공감한다. 실제 영광·담양 재선거에서도 인물론이 부각되며 어려운 싸움을 치르지 않았나”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평가는 오히려 의욕을 꺾을 수 있다. 단순한 득표율 수치보다 변화에 대한 노력과 지역 특성을 함께 반영할 수 있는 평가 지표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평가 기준을 정량적 성과 평가로 포장된 비명계 의원들에 대한 간접적인 ‘정리’ 신호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대선 패배 책임을 지역 득표율로 환산해 의원에게 전가하는 구조가 이재명 후보와 일정 거리를 둬온 의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으로, 결국 이 평가가 계파 정리용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량 평가 방식 도입이 지역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전남의 한 원외 정치인은 “지역 득표율과 투표율에 대한 평가가 이뤄질 경우, 결국 유권자와의 장기적 관계 형성이나 공동체 기여 같은 정치 본연의 활동보다 수치에 집착할 수 밖에 없다. 보수세가 강하거나 무소속 후보가 강세를 보이는 지역은 구조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단순 수치로 비교할 경우 해당 지역 정치인은 반복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며 “조기 대선 국면에서 성과 중심의 평가가 필요하다는 데는 어느 정도 공감하지만, 현장 조직의 실질적 기여와 지역 정치 환경이 외면된다면 그 반작용은 당내 분열과 공천 갈등이라는 이중 리스크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지현·정성현 기자
특히 민주당 핵심 지지 기반인 호남지역의 경우 전체적으로 평균 득표율은 높으나,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이나 전라남도 순천·광양시 등 일부 보수 성향을 보이는 지역구도 있어 “정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평가”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6일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선거의 각 지역구별 투표율과 득표율을 국회의원 평가 지표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선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점수로 환산해 내년 지방선거와 차기 총선 공천에 활용한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전국 읍면동 단위로 당시 이재명 후보에 대한 득표율을 지방선거 공천 기준으로 반영한 바 있어 이번 조치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이에 당 내부에선 이번 평가 기준 도입이 이재명의 실용·성과주의 철학을 반영한 ‘성과 중심 공천 시스템’의 시발점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난 대선에서 0.73%p 차이로 석패하지 않았나. 지역구에서의 직함을 떠나 실질적인 성과를 낸 인사를 높이 평가하겠다는 것이 이 후보의 뜻”이라며 “득표율과 투표율은 성과 중심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지표로, 선관위에서 모든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성과 중심의 정량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민주당은 전국 17개 시·도별로 차등화된 득표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역 의원과 지역위원장들에게 투표 독려를 강조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80%대 득표율을 기록한 호남지역의 올해 대선 득표율 목표를 90%로 설정했다.
그러나 호남 일부 지역에선 관련 기준이 “정치 지형과 유권자 성향이 반영되지 않은 기계적 평가”라는 반발이 나온다.
익명을 요청한 한 광주광역시의원은 “봉선동의 경우 광주에서도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이라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39%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이재명 후보는 54.2%에 그쳤다”며 “지금은 비상계엄 등으로 봉선동의 민심이 민주당으로 기울긴 했지만, 광주 타 지역에 비해 보수 지지세가 높아 시작점 자체가 다른 지역을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는 건 억울한 피해자를 낳을 수 있다”고 토로했다.
![]() |
전라남도 또한 타 정당 후보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지세가 존재하는 순천·광양·여수 등 동부권의 항의가 거세다.
실제 지난 2022년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의 전남 전체 평균 득표율은 86.10%였다. 여수시는 86.03%로 평균에 근접했지만, 순천은 85.12%, 광양은 81.35%로 평균보다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당 순천지역위원회 관계자는 “호남은 이미 전국에서 민주당을 향해 가장 많은 표를 주고 있으며, 투표율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기준을 제대로 적용하려면 해당 지역이 안고 있는 정치적 다양성과 무소속 강세 구도 등을 반영해야 하지 않나. 형평성을 반영한 평가 기준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주당 영광지역위원회 관계자는 “새 인물 발굴을 위한 성과 중심 공천 기준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에는 공감한다. 실제 영광·담양 재선거에서도 인물론이 부각되며 어려운 싸움을 치르지 않았나”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평가는 오히려 의욕을 꺾을 수 있다. 단순한 득표율 수치보다 변화에 대한 노력과 지역 특성을 함께 반영할 수 있는 평가 지표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평가 기준을 정량적 성과 평가로 포장된 비명계 의원들에 대한 간접적인 ‘정리’ 신호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대선 패배 책임을 지역 득표율로 환산해 의원에게 전가하는 구조가 이재명 후보와 일정 거리를 둬온 의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으로, 결국 이 평가가 계파 정리용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량 평가 방식 도입이 지역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전남의 한 원외 정치인은 “지역 득표율과 투표율에 대한 평가가 이뤄질 경우, 결국 유권자와의 장기적 관계 형성이나 공동체 기여 같은 정치 본연의 활동보다 수치에 집착할 수 밖에 없다. 보수세가 강하거나 무소속 후보가 강세를 보이는 지역은 구조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단순 수치로 비교할 경우 해당 지역 정치인은 반복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며 “조기 대선 국면에서 성과 중심의 평가가 필요하다는 데는 어느 정도 공감하지만, 현장 조직의 실질적 기여와 지역 정치 환경이 외면된다면 그 반작용은 당내 분열과 공천 갈등이라는 이중 리스크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