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선의 사진풍경 237>마티스(馬蹄寺) 불교 석굴
박하선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입력 : 2025. 05. 01(목) 15:54

마티스 불교 석굴.
석가탄신일이 다가옴에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하겠지만
얼마 전에 다녀온 불교 문화유산을 하나 소개한다.
실크로드를 따라 서역으로 향하다 보면
중국 간쑤성(甘肅省)의 하서회랑을 지나다가
장예(張掖)라는 오아시스 도시를 만나게 된다.
그 도시의 남쪽 치롄산맥 기슭에
‘마티스(馬蹄寺)’라는 불교 석굴들이 암벽에 보석처럼 박혀 있다.
마티스 천불동에 들어서는 순간
시간은 조용히 멈춘 듯하고
거친 바위 절벽을 벌집처럼 파고든 채
수백 년, 아니 천년이 넘는 세월을 견뎌온 불상과 벽화들은
마치 돌 속에 잠든 숨결이요 손끝으로 새긴 경전이다.
해발 2550m 암벽의 북(北) 마티스 석굴은 더 가관이다.
1600년 전 오호십육국 중의 하나인 북량(北涼) 시대 조성되기 시작해
북위·서위·수·당·서하에 걸쳐 이어져 온 이 석굴은
바위에 불교의 전설적 인물인 ‘파드마삼바바’가 타고 온
천마의 발자국이 남아있어 ‘마티스(馬蹄寺)’라 했다.
석굴 안쪽에서 서로 개미집처럼 이어져 있어
옹색한 통로를 기어다니듯 하면서 만나게 되는 불상들과 벽화 앞에 서면
기도가 암벽을 파고들고 한 점의 빛조차 숨을 죽인다.
신앙과 예술,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만나는 그 자리에 내가 있어
여기가 불국토인가 한다.
그 유명한 둔황의 막고굴에 비하면
보존 상태나 규모, 화려함이 미치지 못하지만
더 여유롭게 그 분위기에 몰입할 수 있고
더 자유롭게 촬영할 수도 있어 답사의 기쁨이 배가 된다.
여러 차례 이 지역을 지나면서도 정보 부족으로 가볍게 여겨
때늦게 찾아온 죄를 누구에게 용서 빌어야 할까.
먼 길 떠난 순례자여,
치롄산의 바람이 깎은 암벽에서 천년의 숨결을 느껴보시게나.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하겠지만
얼마 전에 다녀온 불교 문화유산을 하나 소개한다.
실크로드를 따라 서역으로 향하다 보면
중국 간쑤성(甘肅省)의 하서회랑을 지나다가
장예(張掖)라는 오아시스 도시를 만나게 된다.
그 도시의 남쪽 치롄산맥 기슭에
‘마티스(馬蹄寺)’라는 불교 석굴들이 암벽에 보석처럼 박혀 있다.
마티스 천불동에 들어서는 순간
시간은 조용히 멈춘 듯하고
거친 바위 절벽을 벌집처럼 파고든 채
수백 년, 아니 천년이 넘는 세월을 견뎌온 불상과 벽화들은
마치 돌 속에 잠든 숨결이요 손끝으로 새긴 경전이다.
해발 2550m 암벽의 북(北) 마티스 석굴은 더 가관이다.
1600년 전 오호십육국 중의 하나인 북량(北涼) 시대 조성되기 시작해
북위·서위·수·당·서하에 걸쳐 이어져 온 이 석굴은
바위에 불교의 전설적 인물인 ‘파드마삼바바’가 타고 온
천마의 발자국이 남아있어 ‘마티스(馬蹄寺)’라 했다.
석굴 안쪽에서 서로 개미집처럼 이어져 있어
옹색한 통로를 기어다니듯 하면서 만나게 되는 불상들과 벽화 앞에 서면
기도가 암벽을 파고들고 한 점의 빛조차 숨을 죽인다.
신앙과 예술,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만나는 그 자리에 내가 있어
여기가 불국토인가 한다.
그 유명한 둔황의 막고굴에 비하면
보존 상태나 규모, 화려함이 미치지 못하지만
더 여유롭게 그 분위기에 몰입할 수 있고
더 자유롭게 촬영할 수도 있어 답사의 기쁨이 배가 된다.
여러 차례 이 지역을 지나면서도 정보 부족으로 가볍게 여겨
때늦게 찾아온 죄를 누구에게 용서 빌어야 할까.
먼 길 떠난 순례자여,
치롄산의 바람이 깎은 암벽에서 천년의 숨결을 느껴보시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