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국립의대 신설, 국민과 약속 지켜야
정부·의료계 더 늦춰선 안돼
입력 : 2025. 02. 24(월) 17:37
전남 국립의대 신설 국회 대토론회 및 범도민결의대회가 24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김영록 전남지사도 이 자리에 참석해 ‘전남에 국립의과대학을 설립하는 것은 정부가 이미 약속한 사항이기에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민의 간절한 염원이 전남 의대 설립으로 이어져 전남의 새로운 발전의 원동력이 되길 기대한다.
전남에 국립의과대학을 설립하겠다는 것은 이미 정부가 국민 앞에서 발표한 약속이다. 지역의 의견을 수렴해 하나의 대학을 추천해 달라는 정부의 요청으로 전남의 대표 거점 국립대학인 목포대와 순천대가 통합이라는 합의를 이뤄낸 것도 도민의 오랜 숙원인 국립의과대학 신설을 위한 대승적 결단이었다. 1년 여의 진통 끝에 모아진 지역민의 뜻을 외면해서는 안된다. 불확실한 정치적 상황이 걸림돌이지만 국립의대 설립의 당위성은 정부와 의료계도 충분히 공감하고 있을 것이다. 의정갈등에 따른 의대 정원 증원 논란과 지속가능한 지역을 만드는 핵심 인프라인 전남의 의대 신설이 별개라는 것도 명확하다.
농·어촌이 많은 전남은 도시에 비해 의료 인프라가 취약하다. 이런 상황에서 의과대학의 설립은 지역 내 의료 인력 공급이 늘어나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 난제에 봉착한 농촌의 의료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열악한 농·어촌에 교육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고 의료 인력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시켜 지역 의료 시스템을 안정화 시키는 것도 장점이다. 고령자 맞춤 돌봄 등 특화된 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소멸도 늦출 수 있다. 모든 국민에게 균등한 의료 접근권을 보장하겠다는 헌법적 가치도 감안해야 한다.
3월이면 신학기가 시작된다.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정부와 의료계는 전남의 의대 설립이 의정갈등 논란으로 지연되거나 좌절되지 않도록 하루 빨리 타협에 나서야 한다. 국회의 노력도 필요하다. 국민의 생명은 물론이고 지역의 존폐와 직결된 의료시스템은 어떤 정치적 현안보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다.
전남에 국립의과대학을 설립하겠다는 것은 이미 정부가 국민 앞에서 발표한 약속이다. 지역의 의견을 수렴해 하나의 대학을 추천해 달라는 정부의 요청으로 전남의 대표 거점 국립대학인 목포대와 순천대가 통합이라는 합의를 이뤄낸 것도 도민의 오랜 숙원인 국립의과대학 신설을 위한 대승적 결단이었다. 1년 여의 진통 끝에 모아진 지역민의 뜻을 외면해서는 안된다. 불확실한 정치적 상황이 걸림돌이지만 국립의대 설립의 당위성은 정부와 의료계도 충분히 공감하고 있을 것이다. 의정갈등에 따른 의대 정원 증원 논란과 지속가능한 지역을 만드는 핵심 인프라인 전남의 의대 신설이 별개라는 것도 명확하다.
농·어촌이 많은 전남은 도시에 비해 의료 인프라가 취약하다. 이런 상황에서 의과대학의 설립은 지역 내 의료 인력 공급이 늘어나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 난제에 봉착한 농촌의 의료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열악한 농·어촌에 교육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고 의료 인력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시켜 지역 의료 시스템을 안정화 시키는 것도 장점이다. 고령자 맞춤 돌봄 등 특화된 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소멸도 늦출 수 있다. 모든 국민에게 균등한 의료 접근권을 보장하겠다는 헌법적 가치도 감안해야 한다.
3월이면 신학기가 시작된다.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정부와 의료계는 전남의 의대 설립이 의정갈등 논란으로 지연되거나 좌절되지 않도록 하루 빨리 타협에 나서야 한다. 국회의 노력도 필요하다. 국민의 생명은 물론이고 지역의 존폐와 직결된 의료시스템은 어떤 정치적 현안보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