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니아 법정관리… 지역 협력사 줄도산 우려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 잇단 부도
200여 광주 협력업체 피해 ‘눈덩이’
10억 이상 납품대금 미회수 수두룩
광주상의 “자금지원 시급” 호소문
200여 광주 협력업체 피해 ‘눈덩이’
10억 이상 납품대금 미회수 수두룩
광주상의 “자금지원 시급” 호소문
입력 : 2023. 10. 10(화) 17:38

광주 하남산단 전경.
‘딤채 신화’를 일으켰던 대유위니아그룹의 계열사들이 줄줄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광주지역 협력업체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200여곳에 달하는 광주지역 1·2·3차 협력사들의 직·간접적인 피해는 물론, 10억원 이상 손실을 본 협력사도 상당수여서 피해액은 최소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0일 광주지역 경제계 및 전기·가전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25일까지 연달아 법정관리를 신청한 ㈜위니아전자와 ㈜위니아전자매뉴팩처링, ㈜대유플러스에 이어 지난 4일 ㈜위니아도 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김치냉장고 딤채를 비롯한 주방생활가전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위니아는 올해 상반기만 69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며 위니아, 위니아전자 등 가전분야 계열사를 중심으로 임직원들에 대한 임금 및 퇴직금 체불이 지속돼 현재 법정관리를 신청한 계열사들의 체불액 규모만 553억원 수준으로 산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적게는 5000만원부터 많게는 50억원까지 납품대금을 회수하지 못한 협력업체들은 망연자실하고 있다.
㈜대유플러스의 광주지역 한 협력사 대표는 “공장 2개 규모로 납품해 연간 매출만 80~90억원을 차지하는데 지난해부터 조금씩 납품대금이 밀리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너무 커져 버렸다”며 “작년에 4억원가량을 시작으로 올해 10월, 11월까지는 대금을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17억원 정도가 더 늘어 피해액이 20억원을 넘겼다”고 토로했다.
일부 업체는 생산라인 자체가 멈춰서 공장 전체가 개점휴업을 하는 지경까지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위니아의 경우 납품대금을 전자B2B(어음)로 발행했는데,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금융권 차입금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위니아에서 추정해 통보한 차입금 미지급금은 411억원가량으로 차입금을 협력사에서 대환하지 못하면 지역 협력사들의 줄도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위니아 채권단 대표단은 위니아의 법정관리 사태로 광주지역 중소기업 산업경기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며 긴급금융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표단은 “위니아가 법정관리 신청 중 홈쇼핑에서 판매 행위를 계속하는 것은 채권단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강력하게 비판하고 “국내 김치냉장고브랜드 1위 업체가 불과 2년 만에 거액의 적자로 전환해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비정상적인 주식 흐름까지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 정부나 국회 차원에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법정관리 대책으로 내세운 위니아 멕시코공장 3000억 매각설과 그룹사인 몽베르CC 매각을 통한 자구책 마련 등 경영 정상화 방침도 모두 ‘허위사실’이라며 분개했다.
대표단은 “채권단은 위니아가 빠른 시일 내에 정상 가동하기를 원한다”며 “기발행된 B2B 어음 만기에 우선적으로 금용권이나 정부나 지자체에서 발 빠른 긴급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역 경제계 역시 위니아전자 등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지역경제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호소문을 발표하는 등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날 광주상공회의소는 호소문을 통해 “1년 이상 지속된 임금체불로 법정관리 기업 근로자들과 그의 가족들은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물론 지역 내 협력기업들은 납품대금 회수 지연과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자금운용에 심각한 애로를 겪고 있다”며 “이러한 자금난 및 경영난이 장기화될 경우 협력사들의 줄도산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법정관리 사태의 신속한 해결을 위한 지자체 및 중앙정부 차원의 전담기구 구성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피해상황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자금난 해소 등을 위한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정책당국 및 금융기관 중심의 지원방안을 신속히 마련, 추진해 줄 것”을 요청했다.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
10일 광주지역 경제계 및 전기·가전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25일까지 연달아 법정관리를 신청한 ㈜위니아전자와 ㈜위니아전자매뉴팩처링, ㈜대유플러스에 이어 지난 4일 ㈜위니아도 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김치냉장고 딤채를 비롯한 주방생활가전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위니아는 올해 상반기만 69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며 위니아, 위니아전자 등 가전분야 계열사를 중심으로 임직원들에 대한 임금 및 퇴직금 체불이 지속돼 현재 법정관리를 신청한 계열사들의 체불액 규모만 553억원 수준으로 산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적게는 5000만원부터 많게는 50억원까지 납품대금을 회수하지 못한 협력업체들은 망연자실하고 있다.
㈜대유플러스의 광주지역 한 협력사 대표는 “공장 2개 규모로 납품해 연간 매출만 80~90억원을 차지하는데 지난해부터 조금씩 납품대금이 밀리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너무 커져 버렸다”며 “작년에 4억원가량을 시작으로 올해 10월, 11월까지는 대금을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17억원 정도가 더 늘어 피해액이 20억원을 넘겼다”고 토로했다.
일부 업체는 생산라인 자체가 멈춰서 공장 전체가 개점휴업을 하는 지경까지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위니아의 경우 납품대금을 전자B2B(어음)로 발행했는데,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금융권 차입금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위니아에서 추정해 통보한 차입금 미지급금은 411억원가량으로 차입금을 협력사에서 대환하지 못하면 지역 협력사들의 줄도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위니아 채권단 대표단은 위니아의 법정관리 사태로 광주지역 중소기업 산업경기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며 긴급금융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표단은 “위니아가 법정관리 신청 중 홈쇼핑에서 판매 행위를 계속하는 것은 채권단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강력하게 비판하고 “국내 김치냉장고브랜드 1위 업체가 불과 2년 만에 거액의 적자로 전환해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비정상적인 주식 흐름까지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 정부나 국회 차원에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법정관리 대책으로 내세운 위니아 멕시코공장 3000억 매각설과 그룹사인 몽베르CC 매각을 통한 자구책 마련 등 경영 정상화 방침도 모두 ‘허위사실’이라며 분개했다.
대표단은 “채권단은 위니아가 빠른 시일 내에 정상 가동하기를 원한다”며 “기발행된 B2B 어음 만기에 우선적으로 금용권이나 정부나 지자체에서 발 빠른 긴급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역 경제계 역시 위니아전자 등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지역경제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호소문을 발표하는 등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날 광주상공회의소는 호소문을 통해 “1년 이상 지속된 임금체불로 법정관리 기업 근로자들과 그의 가족들은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물론 지역 내 협력기업들은 납품대금 회수 지연과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자금운용에 심각한 애로를 겪고 있다”며 “이러한 자금난 및 경영난이 장기화될 경우 협력사들의 줄도산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법정관리 사태의 신속한 해결을 위한 지자체 및 중앙정부 차원의 전담기구 구성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피해상황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자금난 해소 등을 위한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정책당국 및 금융기관 중심의 지원방안을 신속히 마련, 추진해 줄 것”을 요청했다.
